.jpg)
△수몰지역 주민들의 거부로 보상자체가 중단된 부항댐 보상 고객 서비스 센터가 텅 비어있다.
8년을 끌어오던 부항댐 건설이 우여곡절 끝에 수몰토지에 대한 보상을 시작했으나 보상 첫날인 지난 23일 주민들의 보상금 수령거부로 삐거덕 거리고 있다.
지난 23일 오전 10시 한국수자원공사 부항댐 건설단은 지례면 대산농협 2층에 부항댐 보상고객 서비스센터를 설치하고 보상 대상 주민들을 상대로 보상을 하려고 했으나 수몰지역 주민들이 지금의 보상가는 혁신도시 유치로 인한 지가 상승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라며 거부하는 바람에 보상은 단 한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주민들은 전체 보상세대가 약 320세대에 이르며 이중 약 16.2%가 보상 통보를 받았으며 평당 보상가는 토지의 경우 평균 12만원, 대지가 25만원, 임야가 2만5천원, 지상물이 정상목인 경우 6만원, 부실물인 경우 6천원~ 1만원이며 슬라브집은 평당 200만원, 한옥은 평당 120~130만원이라고 밝히고 보상 통보를 받은 16.2%의 주민들은 부항면 수몰지역 중 토지상태가 가장 좋은 곳인데도 보상이 이 정도면 나머지 지역은 더 심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지금의 보상을 받고 고향을 떠난다면 혁신도시 유치 등 주변환경의 변화로 지가가 급등한 김천의 여건상 대체농지 마련이 어려워 이주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유촌 1리 박정주씨는 “혁신도시 유치전 보상이 정상적으로 평가됐더라도 이주비용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계약 기간이 2월 28일까지인데 전 주민이 계약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관계 기관에 건의를 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투쟁을 해서라도 대체농지를 확보해 새로운 정착지로 옮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곡 1리 송영순(67세)씨는 “지금의 보상가는 시가의 2배 정도인데 3배 정도는 돼야 이주를 할 수 있다”며 보상가를 올려달라고 하소연했다.
부항면 오연택 시의원은 “현재 보상가가 금액적인 측면으로 보면 많을 수 있겠으나 주변 여건을 감안한다면 충분하지 않다”며 “문제는 이주시 대체농지 확보인데 충분한 보상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부항면민을 대표하는 입장인 만큼 면민들이 대체농지 확보를 위해 투쟁을 하게 된다면 앞장서서 대책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항면사무소 김찬훈 부면장은 “현실적으로 지금의 보상은 이주비용으로 충분치 않다”며 “지원 가능한 범위내에서 주민들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일년에 한번씩 하는 토지지가 상승을 조금 높게 평가를 해서 지역민들이 보상받을 수 있는 데 대한 참고자료로서 제공하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항면 수몰지역 주민들의 이런 움직임에도 한국수자원공사 부항댐 건설단의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보상을 받는 주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는 것은 어디서나 똑같다는 입장이며 주민들이 비교대상으로 내세우는 충남 연기나 김천의 농소 남면은 부항면과는 달라 비교자체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기호 한국수자원공사 부항댐 건설단장은 “감정평가 당시 혁신도시 유치 등 모든 여건이 고려됐으며 지금의 보상가는 적절하다고 본다”면서 “앞으로 보상가 인상은 없다”고 분명히 말했다.
또 “감정 평가를 다시 한다는 것 역시 지금까지 전례가 한번도 없었던 일인만큼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