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3 06:29:4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원격OLD
뉴스 > 종합

시론-말잘하기


편집국 기자 / 입력 : 2006년 06월 08일

              시론  -  말잘하기


      


                                          이 우 상 (수필가 · 집필위원)


 


 


   중국 송나라에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있었는데 원숭이들에게 말하기를,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랴 했더니 원숭이들이 모두 성을 내므로 다시 말하기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랴 했더니 모두 좋아했다고 한데서 유래 된 말을 조삼모사(朝三暮四)라고 하는데 이는 어리석은 사람을 간사한 말주변으로 속이거나 농락함을 이르는 말이다. 일명 ‘모사꾼’으로 통하기도 한다.


  임진왜란 때 원균이 왜선 11척을 파괴했다고 조정에 보고했다. 조정에서 물었다. 11척 파괴한 게 분명 맞느냐? 원균 왈 “1척이면 어떻고 11척이면 또 어떻겠는가? 지금 파괴하면 어떻고 또 1년 후에 파괴하면 어떻겠는가? ........내게는 군함이 있잖소?” 다시 묻기를 “당신한테 군함이 있는 것은 알겠는데 네가 정말로 왜선 11척을 물리칠 능력이 있느냐고 묻는 거다.” 원균 왈 “숫자는 중요하지 않소.


    군함이 나한테 있소!” 결국 원균의 숫자놀음에 속아 이 순신에게 갈 군력까지 원균에게 몰아주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 세치 밖에 안 되는 혀로 만들어지는 말, 때로는 별 것 아닌 것 같기도 하지만 말 한 마디가 태산을 옮기기도 하고 나라의 흥망성쇠를 좌우하기도 한다. 엄청난 위력을 지닌 어마어마한 말의 존재, 어쩌면 인간에게 주신 하나님의 특별한 배려중 하나인데........그러나  말 잘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우리 속담에 ‘고기는 씹어야 맛이 나고 말은 해야 정이 난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그대로 상대방에게 옳게 전달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때로는 본의 아니게 전달되어 상대방의 오해를 사는가 하면 일부러 상대방을 구렁텅이에 몰아넣기도 한다. 그렇다고 말을 하지 않고 살기는 더 힘들다. 말하지 않고 얼마를 버틸 수 있을까? 때문에 우리는 좋든 싫든 간에 말을 하고 살아야 한다.


  말로써 천 냥 빚을 갚고 때로는 출세까지 할 수 있는데 얼마나 좋은 일인가? 그러나 말 한 마디 잘 못하여 남을 죽음의 나락에 떨어뜨리기도 하고 자신이 궁지에 몰리기도 하는 것이 말이다.
송곳으로 남의 가슴을 찌르면 곧 비수가 되어 돌아와 목을 자르는 결과를 낳게 되기도 한다. 그래서 칼보다 무서운 것이 말이라고들 한다.


  칼에는 양날 밖에 없지만 입에는 수십 개의 날이 있다. 언젠가 “좋은 학교를 나오신 분이......”라고 점잖게 뼈 있는 한 마디 말을 한 것이 상대방을 한강에 투신케 할 만큼 위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세치도 안 되는 혀 놀림, 경우에 따라서는 잘 해야 본전이고 손해 보는 경우가 다반사다.


  모임에서 말실수를 하여 집에 돌아와 후회를 한두 번 안 해 본 사람은 드물다. 너무 많이 해도 진실성, 신빙성이 없어 보이고 너무 안 하면 모자라는 사람 취급을 받게 만드는 것이 말이다. 모자라도 안 되고 넘치면 오히려 모자람보다 못하게 되기(過猶不及)도 하는 이 말하기는 알맞게 조절하기가 정말 어렵다.
 


  공자의 논어에 보면 “말만 영리하게 잘 하는 자는 인자한 마음이 없고(巧言令色鮮矣仁), 강직ㆍ의연ㆍ소박하고 말을 더듬듯 조심하는 삶이 인에 가깝다(剛毅木訥近毅仁)”라고 했고 우리 속담에도 ‘웅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라 하여 아무리 말을 잘 해도 침묵보다 못 하다고 하고 있다.


  도대체 어떤 말을 어떻게 해야 잘 하는 일인가 싶다. 말을 술술 잘하면 비단 장사 같다고도 하고 거짓이 담긴 말을 하면 입에 침이나 바르고 말을 하라고도 한다. 언어는 습관이다. 옳은 말 곧은 말을 하는 사람은 많이 배우고 알아서가 아니라 평소 노력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신의 혀를 조정할 능력이 없는 사람은 차라리 침묵하는 편이 낫다.


  짧고 작은 말 한 마디라라도 정성을 다하여, 이왕이면 다홍치마(同價紅裳)라는 말에 걸맞게 남을 생각하고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 이왕이면 상대방이 기분좋아할 말을 찾아서 하는 것이 말 잘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편집국 기자 / 입력 : 2006년 06월 08일
- Copyrights ⓒ김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슬기로운 김천여행” 김천시 이색관광코스 공모전 개최..
김천의료원 건강검진센터 준공식 성황리에 개최..
영화·음식·놀이로 채운 하루..
김천시, 경북 최초 국가유공자 봉안시설 조성..
2025김천학교스포츠클럽리그 성황리 종료..
‘독도수호 나라사랑’독도체험 탐방 운영..
한국도로공사, 페루에 K-고속도로 운영 노하우 전수한다..
청결한 지좌동 우리 손으로..
‘어린이 축구교실 지속-첫 eK리그 참가’ 김천상무, 다양한 방법으로 김천시민과 축구팬에게 다가간다!..
조마면, ‘칭찬 조마인 3호’ 선정..
기획기사
김천시가 운영하는 김천녹색미래과학관이 2014년 개관 이래, 11년 만에 누적 이용객 130만 명을 돌파하면서 지역 대표 과학문화 기관.. 
김천시는 6월 환경의 달을 맞아 시민들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고, 생활 속 환경보호 실천을 독려하기 위해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도서.. 
업체 탐방
안경이 시력 교정의 기능을 넘어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그 역할이 변화해가는 트랜드에 발맞춰 글로벌 아이웨어(eyewear)시장에 도전.. 
김천시 감문농공단지에 위치한 차량용 케미컬 제품(부동액, 요소수 등)생산 업체인 ㈜유니켐이 이달(8월)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선정패 .. 
김천신문 / 주소 : 경북 김천시 충효길 91 2층 / 발행·편집인 : 이길용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숙 / Mail : kimcheon@daum.net / Tel : 054)433-4433 / Fax : 054)433-200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67 / 등록일 : 2011.01.20 / 제호 : 김천신문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79,821
오늘 방문자 수 : 30,377
총 방문자 수 : 100,725,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