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 등원거부 납득하기 어렵다 김천시의회 제103차 임시회의에서 17명의 의원중 의장단을 포함한 7명의 의원이 참석을 하고 9명(무소속3, 한나라당6)의 시의원이 등원을 거부하고 불참 했다. 결국 제103차 임시회는 의결정족수 미달로 회의진행이 무산된 셈이다.
지방자치의 초석을 다지고 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기초의회가 본연의 업무를 망각한채 시의회가 개원한 이래 처음으로 등원거부라는 쇼킹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물론 등원을 거부하는 이유가 의장의 리더쉽 부족, 민선시장에 대한 불만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러한 이유로는 의회등원을 거부할만한 명분은 성립되지 않는다.
시의원은 지역주민을 대표하며 집행부를 견제하는 의결기구로서 책임과 의무가 막중하며 시민의 혈세로 급료를 받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의회내에서 토론하고 집행부를 질타하는 의결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등원거부라는 장외투쟁은 시의원을 선출해준 지역주민을 기만하는 것이며 많은 시민들로부터 지탄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지난주 사설에서도 새로운 의장단이 구성이 되었다면 시의원 모두가 의장단과 힘을 함께모아 의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한목소리를 내야한다고 주장한바 있는데 소극적 감정에 치우쳐 등원거부라는 극단의 처방을 사용한것은 결코 시민들로부터 지지나 환영을 받을수는 없는 것이다.
일부 등원거부 의원들의 말처럼 시민들로부터 욕을 먹더라도 이번에는 그냥 넘어가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는 높이 살만 하지만 모든 일이란 순리가 있는 법이다.
의회내에서 질타를 하고 비판을 할일이지 의회개원 자체를 무산시키려는 의도는 결단코 용납될수 없는 일이다.
전국 초유의 등원거부사태는 시민들을 분노케하고 의원의 신분을 망각하고 시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로 밖에 간주할 수 없다.
늦게나마 임경규의장이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등원거부 사태에 대해 본인의 잘못을 시인하고 동료의원들의 조속한 등원을 촉구하고 있어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기를 기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임경규 의장을 비롯한 의장단이 리더쉽이 부족하거나 동료의원들의 지지를 받지못한 결과에서 빚어진 파문이기 때문에 임경규의장도 이번 사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면키는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임경규의장은 본인의 리더쉽부족과 의회를 대표하는 책임자로서의 책무를 통감하고 등원거부를 한 동료의원들을 설득해서 사태수습에 만전을 기해야만 한다.
잘잘못을 떠나 의회 수장인 임경규의장이 이번 등원거부 사태에 대해 시민 들에게 깊이 사과해야만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