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릉초등 앞 이면도로의 차량 통행이 늘어나면서 이곳을 보행하는 어린이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지만 마땅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곳은 주요 간선도로가 아닌 이면도로라는 특성으로 인해 중앙선은 물론 차선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도가 설치되거나 보행자를 위한 안전선도 그어져 있지 않다. 운전자와 보행자가 그때 그때 상황에 맞춰 보행과 운행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최근 코아루 아파트의 입주로 차량통행이 적었던 이곳의 통행량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안전수칙이나 위기상황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들의 안전문제가 수면위로 부상했다.
특히 이곳은 이면도로 양쪽으로 대형차 및 일반승용차가 항상 주정차되어 있어 통행하는 차량과 보행하는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더욱 줄어들었고 사고의 위험은 더 높아졌다.
다행히 최근 보행 어린이 안전문제가 제기돼 금릉초등 앞 인근 이면도로에 관심이 모아지며 금릉초등 앞에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은 많이 줄어들었고 보행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늘어났다.
게다가 금릉초등 앞에는 주정차를 할 수 없도록 삼각뿔을 세워두고 있다.
하지만 임시방편적인 대책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안전이 영구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행자를 위한 인도나 보행자 전용선을 그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간선도로가 아닌 이면도로이다보니 인도를 만들거나 차선을 긋는 것은 경찰서와 협의를 거쳐야 하며 만약 협의를 거쳐 추진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예산을 확보해야 하므로 당장에는 힘들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금릉초등 앞 이면도로의 어린이 안전문제는 인도를 만드는 쪽으로 추진된다고 하더라도 예산을 세우고 의회 의결을 받고 관계부서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점을 감안할 때 최소한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