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16일 오후 1시30분 김천시청 3층 강당에서 혁신도시 전문가를 초청, ‘혁신도시와 경북발전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사)대한지방자치학회와 경북전략산업기획단이 주관한 이날 토론회는 지역대학 교수, 시의원, 지역주민, 혁신도시 사업시행자, 이전기관 관계자, 지역 상공회의소 관계자, 관련공무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혁신도시 건설에 따른 주변지역과의 기능적 연계방안 및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지역전략산업 및 연계방안, 지역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혁신도시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김용대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수도권 일극중심의 발전전략으로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압축 성장을 해 왔으나 그 결과 ‘수도권의 과밀과 지방의 침체’라는 양극화 현상을 초래했다”고 지적하고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을 통해 지방경제에 활력소를 불어넣고 지역의 미래 신산업과 특성화 발전을 통한 지방발전의 성장 동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책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권영섭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경북으로 이전하는 13개 공공기관을 도로교통·농업기술혁신·에너지·기타 산업지원 등 4가지 기능으로 구분”하고 “도로교통 부품클러스터, 첨단발전소부품·기술개발, 북부지역의 바이오농업 등과 연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부산대 이양수 교수는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산·학·연 협력이 핵심이라면서 공공기관 이전으로 지역 혁신역량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세대 임업 교수는“ 혁신도시 건설을 단순히 일자리를 공급하는 차원이 아니라 지역산업 및 연구역량을 강화해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혁신도시 건설 관계자는 “앞으로 이런 토론회를 자주 열어 전 도민의 혁신도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게 해야 된다”며 “공공기관 이전 및 부대시설, 주거환경 등 하드웨어적인 건설뿐만 아니라 지역혁신주체들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및 기술개발과 혁신을 도모하는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발전을 이루는 토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