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책임질 사람은 뒷짐만 지고 있고
지난 12일 시청 옆 모 식당에서 사소한 시비 끝에 강모 비례대표 시의원이 시의회 사무국 소속 이모 공무원을 채소접시로 쳐서 얼굴에 20바늘을 꿰매는 중상을 입힌 사고가 발생해 보름이 지난 지금까지 말이많지만 실제적인 책임이 있는 지역 국회의원 측에서는 뒷짐만 지고 있다는 비난의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겉모양은 한나라당이 공천을 하고 비례대표 시의원자리까지 순위를 정해 준 것으로 돼있으나 지역 국회의원 단독으로 한 것이라는 사실은 정치에 관심 없는 시골노인들까지도 다 알고 있는 사실인데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고 분통을 터트리는 시민도 적지 않다.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당선된 시의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김천시의회 역시 처음엔 폭행한 시의원 개인의 일로 돌리려다 여론에 밀려 윤리특위를 구성하고 진상조사에 착수하긴 했지만 결과는 예상대로 해당의원의 의회에서의 사과와 ‘출석정지 30일’ 징계로 끝냈다. 그러니까 시의원직은 그대로 유지하고 30일 동안 쉬면 끝이라는 것이다. 쉬고 있어도 급여성격인 월정수당 100만원은 그대로 받고 의정활동비 110만원만 받지 못하니 이번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제2, 제3의 폭행시의원이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경찰에서도 조사를 했으니 결과를 지켜볼 수밖에 없지만 시의회가 의장명의의 간단한 사과문을 발표하고 비록 한계가 있다고는 하지만 솜방망이 징계를 하는 것으로 할 일 다 했다고 얼렁뚱땅 넘어간다면 유권자인 시민이 끝까지 참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전공노 김천시지부가 들고 일어나고 지부장이 촛불시위를 한 외에도 단식농성을 하고 있는 마당에 피해 공무원이 너무 쉽게(?) 합의를 해서 그렇긴 하지만 시의회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해결의 열쇠를 지고 있는 지역출신 국회의원에게 “뒷짐만 지고 있어서야 되겠느냐”고 책임을 물어 임의원이 한나라당 차원의 윤리특위를 구성, 시민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징계로 상식이 통하는 사회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권숙월 편집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