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문화단체의 활발한 정책제시 등으로 위기에 처한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김천지부(지부장 박광제)가 조직혁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간 예총이 관변적 성격과 회원인 문화예술인들 중심의 사업으로 조직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한편 갈수록 ‘문화적 공공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비영리조직으로 거듭날 것”으로 제안 개정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변단체에서 독립단체로의 조직변화 ,의사결정구조를 통합해 새로운 단체로서의 정체성 확보, 예술정책에서 전문성 있는 정책입안과 이를 위한 전문고급인력을 보강하고“막연한 대안제시보다 현재의 조직부터 재점검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새로운 문화예술단체의 탄생과 이들의 적극적인 문화정책 입안 등으로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가는 김천예총의 위기감을 고스란히 반영해 향후 예총이 자기혁신을 위한 변화과정에서 많은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다양한 이익사업을 개발하고, 예총 산하에 문화정책을 개발할 수 있는 실무부서가 신설되어 김천시가 예총지부를 통하지 않고 보조금 지급 등 직접 관여하는 각종 문화예술행사를 근절시켜한다는 지적이다.
김천예총은 지역 예술단체의 총본부의 역할과 김천시와 협의를 통해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단체의 예산지원경로를 적극적인 개정과 각종 동아리내지 모임의 성격을 엄격히 구분해 이들에 대한 예산지원을 산하 단체 지부 사업으로 귀속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
한 예로 김천시를 상대로 직접예산을 지원받는 사진동아리의 경우는 사진작가협회로 예산을 신청해야 마땅하다.
이렇게 될 경우 유사 예술단체의 난립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산지원의 타당성을 좀 더 세밀하게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
김천예총의 각종 교육 강좌 개설을 통한 지역 예술 활성화를 고집하고 예술은 특정인만 누릴 수 있는 행위라는 관점을 벗어나 누구나 예술행위를 누리고 향유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예총지부 각 산하 단체가 각종 예술 강좌를 개설, 예술인 저변 확대에 나서 예술에 관심 있는 예술인 양성으로 활력이 넘치는 김천예총으로 거듭나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국가족연극제, 국제퍼포먼스 경연대회, 백수백일장, 등 지역에서 치러지고 있는 대규모 예술행사들에서 철저하게 김천예총은 배제된 채 치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총김천지부에는 문인협회, 음악협회,국악협회, 미술협회, 사진협회,연극협회, 연예협회 등 7개협회로 구성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