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지도층 인사가 이럴수가?
김천지역의 최고 지도층 인사라고 할 수 있는 변호사·의사등이 주소지를 김천에 두지않고 있어 소득세등 세금을 외지에서 낸다는 것은 지역정서상 납득하기 어려운 행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의사들은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위와같은 지역발전과 김천사랑 역행은 매우 유감일 수 밖에 없다.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도 고소득의 의사·변호사들의 소득세 등은 김천에서 납부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김천에서 벌어들인 수입을 지역에 환원한다는 경제논리에서도 부적절한 처신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김천시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중인 인구증가 노력은 이러한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앞장서서 협조 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김천시 인구가 15만 이하로 줄어 시장이나 부시장등의 직급이 낮아지고 시청 산하의 국이나 과가 줄고 중앙예산이 삭감되는 등 엄청난 불이익을 받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일부러 외지에 있는 출향인사들이나 김천에 근무하면서 주민등록이 되어있지않는 직장인들을 김천으로 주소지를 옮길수 있도록 시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점을 감안한다면 주소지를 김천에 두지않고 김천에서 돈을 벌어 외지에서 돈을 쓰는 기현상은 절대로 용납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제라도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 의사들도 가능하면 김천으로 주소지를 옮길 수 있도록 의사회 차원의 노력도 보여주어야 할 것이며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주민등록이 김천에 되어있지않는 의사나 변호사들의 명단을 공개하는것도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의정비 인상 ‘시민단체’들 반발
시의원들의 의정비 인상문제를 둘러싸고 시민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해 성명서 게재, 특별기고문 등을 잇따라 보도하고 있고 시의회와 시민단체간 불협화음이 법정공방으로 이어질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사실상 시의원들의 의정비 인상은 기정사실화 되고있지만 결국 의정비 인상의 촛점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싸움일 수 밖에 없다. 결국 시의원들은 의정비를 인상해 직급에 걸맞는 보수를 지급한다면 의정활동을 제대로 할 수 있겠다는 것이고 시민단체들의 주장은 시의원들이 정상적이고 열성적인 의정활동이 전개될때에 의정비를 인상시켜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제 며칠있으면 의정비 심의위원회가 최종 인상안을 의결할것이고 결국 의정비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인상이 되는것은 확실하다. 이제부터라도 선출직 시의원들은 시민들의 혈세로 지급되는 인상된 의정비만큼 더욱 열심히 노력하는 의정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