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입춘대길(立春大吉) 배 영 희 교육학박사·효동어린이집 원장 아직 꽁꽁 얼어붙은 추운 겨울이라지만 입춘(立春)이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양력으로 2월4일이니 올 겨울도 다 간 셈이지요. 입춘은 24절기 중 하나로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며 첫 번째 절기입니다. 입춘이 되면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을 녹이고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나며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꽃잎하나 걸치지 않고 당당히 눈보라를 맞는 저 나무들도 새싹 틔울 준비가 한창일 것입니다. 한반도에서는 해마다 입춘시기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고 대문에 써 붙이는 풍습이 있는데 이 뜻은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음력으로 한해에 입춘이 두 번 들어 있으면 쌍춘년(雙春年)이라고 하여 그 해에 결혼하는 것이 길하다고 하였습니다. 입춘이나 대보름날 전날 밤에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꼭 해야 일 년 내내 액을 면한다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이란 풍속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밤중에 몰래 냇가에 가서 징검다리를 놓는다든지, 거친 길을 곱게 다듬어 놓는다든지, 다리 밑 거지 움막 앞에 밥 한 솥 지어 갖다놓는다든지 등등 실천하는 미풍양속입니다. 상여 나갈 때 상여 머리에서 부르는 상엿소리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입춘날 절기 좋은 철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공덕(救難功德) 하였는가.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월천공덕(越川功德)하였는가. 병든 사람 약을 주어 활인공덕(活人功德)하였는가. 부처님께 공양드려 염불공덕 하였는가.’ 죽어서까지도 염라대왕으로부터 입춘 날의 적선공덕행을 했는지 심판 받는다는 생각을 하는 우리 조상들의 아름다운 풍속입니다. 입춘시기에 가장 큰 일은 장을 담그는 일입니다. 아직 추위가 덜 풀린 이른 봄에 담가야 소금이 덜 들어 삼삼한 장맛을 낼 수 있으며 메주는 늦가을에 쑤어 겨우내 띄운 것이 맛이 있습니다. 입춘수(立春水)는 입춘 전후에 받아둔 빗물을 말하는데 이 물로 술을 빚어 마시면 아들 낳고 싶은 남정네의 기운을 왕성하게 해준다고 생각했습니다. 봄이 시작되는 입춘. 모쪼록 천지에 기운은 따뜻해야 만물이 자라고 차가우면 죽게 됩니다. 우리도 봄처럼 따스한 사람이 됩시다. 성품이 따뜻하고 마음이 온화한 사람은 복을 받게 되고 성질과 기질이 차가운 사람은 복을 후하게 받지 못한다 하였습니다. 더욱이 아이들을 키우거나 가르치는 사람들은 더욱 그러합니다. 보드랍고 따뜻해야 그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건강하고 밝게 자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말을 곱게 쓰는 사람은 마음을 곱게 쓰는 사람입니다. 반대로 말을 험하게 쓰는 사람은 마음을 험하게 쓰는 사람입니다. 남에게 상처 주는 말이 아니라 봄처럼 따스한 말을 씁시다. 단 하루만이라도 적선공덕행을 실천해야 액을 면한다는 입춘이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가족 중에 누군가가 따스한 말이 필요한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 이웃 중에 누군가 따뜻한 밥 한 그릇 나눌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서로 봄 눈 녹듯이 보듬어 주며 더불어 사는 따스한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입춘대길’이라고 대문에 써 붙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입춘에는 무슨 좋은 일을 할 게 없나 생각해봐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