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자 "뷰스엔뉴스"에 의하면 인명진 한나라당 윤리위원장은 17일 안강민 공천심사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지난 11일 윤리위 징계자들의 명단을 넘겼다고 밝혔다.
"안강민 위원장이 윤리위 징계 인사명단 요구"
인 위원장은 17일 <뷰스앤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안강민 위원장이 과거 윤리위 징계를 받은 인사들의 명단을 달라고 해서 넘겼다"며 "해당 문건에는 최고위원회의 의결로 징계에서 사면된 인사들도 함께 넣었다"고 밝혔다.
과거 윤리위 징계를 받은 인사는, 지난 2006년 9월 피감기관인 군부대 골프장에서 골프를 쳐 파문을 일으킨 바 있는 김학송(경남 진해), 송영선(비례대표), 공성진(서울 강남을) 의원, 송태영(충북 청주흥덕을 공천신청) 당선인 비서실 부대변인 등이다. 또 지난 해 가을 국감 도중 피감기관과 술판을 벌인 이명박계 임인배(경북 김천) 의원도 윤리위 징계를 받은 바 있고, 2006년 술집 여종업원의 어깨를 만지는 장면이 담긴 동영상이 유포돼 파문을 일으킨 박계동(서울 송파을) 의원도 윤리위 징계자 명단에 포함됐다. 이렇게 크고작은 사유로 징계를 받은 인사는 5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 위원장은 ‘살생부 발언’ 등으로 징계를 받았다가 징계를 받았다가 경선후 사면된 김무성, 정두언 의원 등의 명단도 공심위에 넘겼다고 덧붙였다 인 위원장은 "안강민 위원장이 나에게 먼저 윤리위 징계자 명단을 달라고 해서 주었다"며 "참고를 안할거라면 왜 달라고 했겠나? 안 위원장이 공천심사 과정에서 공천에 참고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부패연루자, 선거법 위반 인사들은 공천 못받을 것"
인 위원장은 사견임을 전제로 "과거 부패연루자, 선거법 위반 인사들은 이번에 공천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가 당규 3조2항 때문에 그 난리를 쳤는데, 그럼에도 그들에게 공천을 준다는 것은 국민 보기에도 낯뜨거운 행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나 "사면.복권을 받았거나, 과거 10여년 전의 일과 같은 경우는 공심위에서 유형별로 처리할 것으로 본다"며 "공심위가 부패전력자나 선거법위반 인사들에 대한 개별 판정을 내리지 않겠나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철새 정치인, 법조계-교수-언론 출신 등 엘리트 위주 공천 지양해야"
인 윤리위원장은 또 11일 안강민 공심위원장을 만나 윤리위 징계 명단과 함께 자신이 생각하는 공천 기준 3가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우선 "안 위원장에게 '철새 정치인'에 대한 공천 불가 원칙을 강조했다"며 "과거 다른 당에서 요직을 거친 인사들이 이제는 정권이 바뀌어 한나라당이 잘 나가니 다시 복당하거나 아니면, 입당하려는 사람들은 한나라당 정당 발전 뿐만 아니라 한국 정치 발전을 위해 공천을 주어서는 안된다. 적어도 철새 정치인이 한나라당에서 앞으로 4년간 당에 있으며 당 이념을 익히는 등 철저히 한나라당 사람이 되어 다음 총선 공천에 기회를 주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역-연고 없는 낙하산 공천 불가' 원칙도 전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공천 신청을 한 것을 보면 한번도 그 지역에 살아본 적이 없는 등 지역민들과 호흡을 해본 적이 없는 인사들이 내다 꽂기식으로 공천을 신청하고 있다"며 "내가 아는 지역만 여러 곳에서 이런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행태는 국민들에게 한나라당이 어디를 가도 이길 수 있으니 저런다는 웰빙정당 이미지를 심어주기 십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비례대표 출신 의원들의 지역 출마와 관련 "상당수가 연고없이, 혹은 공천 신청 전에 적어도 수개월간 살아보지도 않은 지역구에다 막판 눈치작전식으로 공천을 신청했다"며 "이 또한 국민들에게 곱게 비춰지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마지막으로 엘리트 인사들에 대한 공천 자제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에 공천을 신청한 사람들 중 무려 130여명이 검찰, 판사, 변호사 등 법조인이었다"며 "이러다 한나라당이 검찰당, 법조당이 되는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그는 또 "법조계 뿐만 아니라 대학 교수 등 학계나, 언론인 출신들의 공천 신청이 쇄도하는 것도 문제"라며 "이같은 모습은 한나라당의 이미지를 나쁘게 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엘리트 집단의 공천 신청은 쇄도하는 데 반해 지역에서 시민들과 함께 살아온 시민단체나 시민활동가들의 공천 신청은 찾아보기가 드물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엘리트 집단의 무분별한 공천이 공심위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것 같다"며 "어느 지역구의 경우 당협위원장으로 그 지역을 3년넘게 지켜 온 인사가 하루 아침에 엘리트 공천 신청자들에 밀려 2~4배수 압축 후보군에도 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사람들이 어떻게 당을 앞으로 지키고 나가겠나"라며 "한나라당이 대세론만 믿고 과반수를 자신하지만 절대 안심해서는 안된다. 국민들이 이런 모습 하나 하나를 철저히 지켜보고 있음을 명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