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2 21:12:19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원격OLD
뉴스 > 기획기사

<출향인이 보내온 글>

고 향
권숙원편집국장 기자 / kimcheon@hanmail.net입력 : 2008년 05월 26일
 










 현대문명은 고향을 떠나는 타향살이에서 시작된다. 화이트는 고향을 등진 현대인을 조직인이라 했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에서 제1의 물결인 농경사회를 대체한 제2물결 곧 산업사회는 대량생산, 대량분배, 대량소비, 대중문화에 기반함으로써 옹기종기 모여 살던 가족사회의 붕괴를 가져왔고, 고향을 떠나 낯선 도시에서 노동하는 타향살이 인생으로 전환시켰다. 산업사회 이후 정보화사회로 불리는 제3의 물결은 더욱 개인화 개성화로 치달아 고향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는 타향화를 가속화시켰다.


 


  울적할 때면 고복수가 부른 <타향살이>를 곧잘 흥얼거린다. 


  ‘타향살이 몇 해던가 손꼽아 헤어보니/고향 떠난 십여 년에 청춘만 늙어/…/고향 앞에 버드나무 올봄도 푸르련만/버들피리 꺾어 불던 그때가 옛날’


  고등학교를 졸업한 까까머리 소년이 서울로 떠나간 그날로 나의 타향살이는 시작되었다. 어언 백발이 성성한 노년이 되었다. 타향살이 몇 해던가 손꼽아 헤어보니 손가락이 모자라 헤아릴 수가 없다. 고향 봉계를 떠난 지 훌쩍 반백년이 되었다. 어릴 적 동무들과 뛰놀던 좁은 골목길과 빈대 벼룩이 함께 밤을 새우던 낡은 초가집이 아스라이 꿈만 같은 데, 그리운 고향은 멀어만 간다.


 


 ‘젊어서 떠난 고향 늙어서 돌아오니/고향 사투리는 그대로인데 귀밑머리만 쇠었구나/애들은 나를 알 턱이 없어/웃으며 어디서 오는 나그네냐 묻는다’(少小離鄕老大回 鄕音無改鬢毛衰 兒童相見不相識 笑問客從何處來)


  당나라 초기에 활약한 시인 賀知章의 <回鄕偶書>는 오랫동안 고향을 떠나 있던 사람이 고향에 찾아와서 처음 느끼는 감회를 사실적이면서도 유머있게 처리한 시이다. 그리운 고향을 찾아 올해도 어김없이 설날 귀성객이 하늘과 바다와 땅을 뒤덮었다. 고향길이 고생길인 줄 알면서도 고향으로 향하는 발길을 멈출 수 없었다. 귀성전쟁이라고 해야 할 만큼 난리북새통을 이룬데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명절만 되면 고향으로 달려가는 것일까. 고향엘 가지 않으면 당장 고향이 어디론가 떠나갈 것처럼 고향을 찾는 이유는 뭘까.


 


  고향에 대한 집념은 사람에게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고향은 단순한 지명(地名)이 아니라 나를 있게 한 생명이며 조상의 얼이 살아 숨쉬는 역사이며, 청운의 꿈이 자란 곳이다. 도처에 청산이 있어도 고향은 그 어떤 명승지보다 아름다운 곳이며, 도처에 사람이 있어도 고향사람보다 순박한 인정의 샘물이 넘쳐날 수 없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필설(筆舌)로 형언할 수 없는 혼이며 정신이다.


 


  ‘고향은/노고지리 초록빛 꿈을 꾸는/하늘을 가졌다//폴폴 날리는 아지랑이를 호흡하며/산냉이도 자라고/할미꽃 진달래 송이송이 자라고//태고적 어느 신화의 여신이 속삭였다는/사랑의 밀봉 울 안처럼 왱왱 풍성하다//언덕을 지나고 시내를 건너고/노래 맞춰 고향으로 간다//고향은 아직도 내 마음에 너그럽다’


 


  김수영의 <고향>은 이 세상에서 가장 낭만적이다. 비단 그의 고향뿐만이 아니라, 고향은 그 누구의 고향이든 간에 들녘에는 노고지리 우짖고 아지랑이 하늘거리며 산에는 진달래 붉게 피어 신화의 여신이 꿀벌의 노래에 맞춰 사랑을 속삭이는 유토피아이다. 고향을 지척에 둔 사람이나, 고향을 머나먼 북쪽 하늘 아래 둔 사람이나 고향을 그리는 마음은 한결 같다.


 


  ‘길을 떠났던 나그네가 먼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다. 그리운 성문이 보이고 강 양쪽 기슭에는 아낙네들과 애들이 고향 사투리로 이야기를 주고 받고 있다. 아아, 이 또한 흐뭇한 일이 아닌가.’


 


  김성탄의 <西廂記序>는 오랜 세월 타향을 떠돌다 돌아오는 나그네의 고향에 대한 묘사가 정겹다. 옛날 고향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났던 범상한 일들이 먼 길을 떠났다 돌아오는 나그네의 눈에는 하나하나가 범상치 않다. 만난(萬難)을 무릅쓰고 고향을 찾는 이유가 언제나 새롭게 피어나는 그리움이 있기 때문이다.   


 


  ‘머나먼 남쪽 하늘 그리운 고향/사랑하는 부모형제 이 몸을 기다려/천리타향 낯선 거리 헤매는 발길/흐르는 눈물에 설움을 타서 마셔도/마음은 고향 하늘을 달려갑니다’


 


  설움 속에 잔잔히 흐르는 고향 그리움은 그 무엇으로도 달랠 수 없는 지독한 향수다.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고향하늘 아래 기다리고 계시는 늙으신 부모님을 생각하면 가슴이 저며온다. 고향에는 나를 낳은 부모와 형제가 기다리고 있기에, 고향에는 나를 키운 꿈이 서려 있기에, 고향에는 나를 반기는 친구들이 있기에 마음은 고향을 향해 달려간다.  


 


  그런데 고향이 옛 고향이 아니다. 고향의 인심도 변하고, 고향의 산천도 변했다. 소담스런 보리밥상 위에 얹혀 있던 구수한 숭늉과도 같은 인정은 온 데 간 데 없다. 고향을 둘러치고 있던 탱자나무 울이 헐린 지 오래다. 산업화 도시화의 물결에 떠밀려 고향의 모습이 일그러졌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산꿩이 알을 품고/뻐꾸기 제철에 울건만/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오늘도 메 끝에 홀로 오르니/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정지용의 <고향>은 고향을 잃어버린 자의 상실감과 비애의 처절함이 이루 말할 수 없다.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도 들리지 않는 고향은 고향의 진정성을 잃어버린 고향의 비극이다. 현대인들은 고향에 찾아와서도 고향을 느끼지 못하는 ‘고향 상실의식’에 빠져있다.


  하지만 어쩌랴! 고향은 고향인 것을. 타향살이를 하다보면 ‘정들면 타향도 고향’이라며 푸념을 늘어놓기도 하지만, 인간에게는 귀소본능이 있기에 타향살이가 길어질수록 고향 그리움은 더해 간다.


 


  ‘고향으로 돌아가자/나의 고향으로 돌아가자/아무데나 정들면 못 살 리 없으련만/그래도 나의 고향이 아니 가장 그리운가…’ (이병기/고향으로 돌아가리)


  ‘언제든 가리/마지막엔 돌아가리/목화꽃이 고운 내 고향으로/조밥이 맛있는 내 본향으로/…/언제든 가리/나종엔 고향 가 살다 죽으리/메밀꽃이 하얗게 피는 곳/…/꿈이면 보는 낯 익은 동리’(노천명/고향)


  아무데나 정들면 못 살리 없건만 태어난 그곳이 인생의 마지막 종착지라는 것을 고집한다. 죽어서도 돌아가야 할 곳은 고향이다.


 


•약력


시인 


전 부산일보 논설주간


동서대학교 객원교수


교회복음신문 주필


크리스천21세기포럼 상임위원


부산문인협회 부회장


권숙원편집국장 기자 / kimcheon@hanmail.net입력 : 2008년 05월 26일
- Copyrights ⓒ김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배낙호 김천시장, 송언석 국회의원과 원팀 국비확보 광폭행보..
황산폭포, 30억 야간 경관조명 사업 취소 결정..
새마을운동 제창 55주년, 제15회 새마을의 날 기념식..
시설관리공단, 추풍령테마파크에 그늘막 및 벤치 설치로 방문객 편의 증진..
딸기 수직재배, 미래농업의 꿈을 키우다..
이철우 도지사, 영덕 노물리에서 전화위복버스 첫 현장회의 열어..
월드옥타 안동에서 글로벌 경제 협력의 장 열다..
대신동 통합방위협의회, 환경정화 활동으로 경북도민체전 성공개최 기원..
향토애 담아낸 수채화로 평온과 위안을 선사..
김천대학교 유니라이트 동아리, 첫 봉사활동..
기획기사
김천시는 매년 차별화된 주거복지 정책을 선보이며,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2025년에도 저출생 문제 해소와 시.. 
2024년 여름, 김천시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봉산면에는 시간당 8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졌으며, .. 
업체 탐방
안경이 시력 교정의 기능을 넘어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그 역할이 변화해가는 트랜드에 발맞춰 글로벌 아이웨어(eyewear)시장에 도전.. 
김천시 감문농공단지에 위치한 차량용 케미컬 제품(부동액, 요소수 등)생산 업체인 ㈜유니켐이 이달(8월)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선정패 .. 
김천신문 / 주소 : 경북 김천시 충효길 91 2층 / 발행·편집인 : 이길용 / 편집국장 : 김희섭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숙 / Mail : kimcheon@daum.net / Tel : 054)433-4433 / Fax : 054)433-200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67 / 등록일 : 2011.01.20 / 제호 : I김천신문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48,285
오늘 방문자 수 : 49,992
총 방문자 수 : 97,849,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