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가 2일 여의도에서 친박연대 및 친박무소속 연대 소속 국회의원 24명과 회동을 갖고 '앞으로 당내 친박 의원들과 논의' 한 뒤 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번주 중 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키로 결정한나라당도 친박계 인사들의 복당과 관련 자격심사위원회를 구성키로 함에 따라 사실상 복당 허용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은 이날 최고위원회를 열고 이번주 중 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키로 결정했다.
박 전 대표는 친박 복당 문제와 관련, "이 문제는 내게 모든 것을 일임해 결정한 뒤, 행동 통일을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나라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 문제를 더이상 끌 수 없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회동 직후 "복당 문제를 가지고 내 입장은 5월말까지 어쨌든 결론을 내달라는 것이 었는데 한도 없이 갈 수 없지 않느냐" 면서 "이제 더이상 복당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회동, '사실상 선별복당' 비판도 제기그러나 18대에서 낙천한 인사의 경우 구분해 중앙당 심사위에서 복당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당의 방침을 놓고 일부 인사들이 "사실상 선별복당" 이라며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한 참석자는 "심사위를 구성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상 선별복당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면서 "박 전 대표가 알아보고 최종 결정을 내리자는 것이다. 빠른 시일 안에 결론이 날 것" 이라고 말했다.
회동이 끝나고 바로 박 전 대표는 오후부터 당 지도부 및 당내 측근들과 접촉을 갖고 복당 문제와 관련해 의견을 청취한 뒤 조만간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전해졌다. 서청원 대표는 "박 전 대표가 하자는 대로 하기로 했다"며 언급을 피했다.
강재섭, 몇 가지 원칙 갖고 친박계 허용한편 이날 李대통령과 강재섭 대표와의 회담에서 강 대표는 당의 화합을 위해 몇 가지 원칙을 갖고 친박 인사들의 복당을 허용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우선 한나라당 소속으로 공천에서 탈락해 탈당한 뒤 4.9 총선에서 무소속이나 친박연대로 당선된 인사들은 결격사유가 없는 한 곧바로 복당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구체적인 방향과 절차는 당에서 알아서 진행해 달라"며 강 대표의 방침을 수용했다. 이에 따라 서청원, 양정례 의원 등을 제외한 친박계 의원 대부분은 조만간 복당이 가시화 될 전망이다.
'민심 수습 위해 '복당' 미룰 수 없다'복당 문제가 진전된 데는 그동안 부정적 입장을 취했던 강 대표가 한걸음을 물러난 결과다. 강 대표는 원 구성 이후 복당을 주장해 왔으나 최근 쇠고기 관련 민심 수습을 위해 '복당'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친박측은 일단 강 대표의 복당 안을 받아 드리고 강 대표가 그동안 '6월 중순 복당'을 주장해 왔던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양보를 했다는 평을 내린 셈이다.
그러나 일부 친박 인사들은 그간 박 전 대표가 주장해온 '일괄복당'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당 지도부가 더욱 진전된 안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