溺村) 마을 由來지리대(沮 KBS 장수 마을로 전국에 방영된 忠 孝 禮 중시하는 충정의 고장으로 조선 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벽계 저평 명덕 이였다 1914년 대림 나속과 김산군 대항면 백어를 통합하여 상거리라 하여 석현면 에 편입 되었다 1934년 구성면 소관이 되었고 1971년에 벽계 저평 명덕 나곡과 대항면에 속했던 백어동 을 통합하여 상거리 로 하였다 옛날 이마을 에 살았던 김녕 김씨 들이 중국 제나라 초나라 공자 와 사회를 계획하려는 유계급의 士 장저 걸익 세상 속세를 떠나 산골 깊숙이 자연과 벗하면서 살아가는 은자계급의 도가들이다 두분의 이름에서 저자 와 익자를 따서 저익촌 이라고 하던 것이 변하여 오늘의 저평 지리대 저력촌이라 부르게 되었다 소리가 바뀌어 굳어진 걸로 보인다. 沮溺村으로 부르는게 옳을것이다 마을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는지 정확이알수없어나 洪氏 먼저 마을에 들어와 정착하였으며 朝鮮 초기 金寧 金氏가 入鄕 (癸酉政變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세조2년 1456년 처참하게 殉節하신 死六臣 白村 忠毅公 金文起 先生 의 曾孫) 淑자 蓮자 先生게서 상주에서 종형 따라 옥천군 백지리 夜間에 1524년 이곳으로 와 터를 닦았다 이후 金寧金氏 집성촌을 이루고 타성인 鄭氏 李氏 崔氏 孔氏 유적지는 金寧金氏 入鄕組를 추모하는 承裕齋가 있다 承裕뜻이 先組를 받들면 後孫은 福을 반는다는 뜻이다.동쪽에 약 五百年된 느티나무 와 承裕齋 文化財로 등록되여 있음 2008년7월30일 글쓴이:김상한010-5273-9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