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言 비중과 깊이' 아는 정치인
'무거운 침묵으로 강력한 메시지 던져'
최도철취재부장 기자 / kimcheon@hanmail.net 입력 : 2008년 09월 17일
ing=1 cellPadding=0 align=left bgColor=#ffffff border=0>
|
| | 한나라당 안에서는 아직도 박근혜 중용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무총리, 당 대표, 대북특사까지 이슈가 터질때마다 그의 이름이 거론된다.
당내외에서 이런 불씨를 지피는 사람들이 있지만 정작 박근혜 전 대표 본인은 별 관심이 없다고 한다.
특히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대북특사로 거론한 '훌륭한 정치인'은 박 전 대표라는게 정설이다.
박 전 대표가 때마다 이름이 거론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박 전 대표가 거론된 것은 그만큼 정치적 의미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뜻이다.
박근혜 전 대표는 정치인들 중에서 가장 말을 아끼는 정치인이다. 그가 말을 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불필요한 말을 자제하고 있다는 것 뿐이다. 박 전 대표의 침묵속에는 함축된 모든 뜻이 다 들어있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한나라당 공천에 침묵으로 항의한 적이 있다. 그당시 왜 자신의 친박계에 불이익을 보면서 침묵으로 일관 했던가. 그당시 모든 주변의 정치인들이 불만 아닌 분노를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결과를 한번 되새겨 보라. 박근혜 전 대표가 탈당이나 목소리를 높이는 극단적 방식을 하지 않았던게 더욱 큰 효과를 창출하지 않았던가. 그당시 정치권은 그의 침묵으로 인해 에 더욱 긴장하고 있었다.
이미 당내는 친이계가 장악한 상태이고 또한 몇마디 발언을 했다고 달라질 상황이 아니었다. 그런 분위기를 알고 있었던 그는 총선에서 최대한 행동반경을 줄이면서 당의 공천을 받았거나 당 밖에서 무소속 또는 친박연대로 분투하는 측근들을 간접 지원했던 것이다.
간간이 말문을 연 박 전 대표는 당의 공천에 대해 "잘못된 공천"이라고 비판했다. 이 한마디로 정치권은 술렁되었다. 그 이후 또 다시 침묵했다. 이를 두고 측근들은 박 전 대표가 사실상 '침묵'으로 공천을 주도한 李대통령측에 항의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보고있다.
공천탈락한 친박에게 박 전 대표는 '살아서 돌아오라'는 한마디만 했다. 그 결과 너나 할 것없이 달랑 박근혜 사진 한장을 걸고 선전을 해 지금의 친박계가 생존했다. 직접 지원 방식보다 짧막한 이 한마디가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 잡아 승리를 거둔 결과였다.
만일 박근혜 전 대표가 자신의 계파만을 살려 달라고 한나라당과 딜을 하고, 국민을 행해 아우성 쳤드라면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오히려 그 결과는 정반대로 참패를 면치 못했을 것이다.
이처럼 박 전 대표는 침묵의 의미를 잘 알고 있다. 아무나 침묵의 정치를 흉내낼 수가 없다. 이런 침묵 정치는 고단수의 내공이 필요하다. 그만큼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앞전의 총리설이나 이번 당내외에서 흘러 나온 '대북특사설'에 박근혜 전 대표는 미동 조차 하지 않았다. 그만큼 李대통령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또다시 헤프닝으로 끝난 대북특사설로 친박계 의원들은 李대통령에 대한 불만을 거침없이 털어놓았지만, 당사자인 박 전 대표는 李대통령에 대해 불만을 표현조차 하지 않았다.
그만큼 박근혜 전 대표는 무게가 있는 정치인이다. 정치인들은 기본적으로 말을 앞세운 정치를 한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가끔 무거운 침묵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다. 이런 '침묵의 정치'는 오직 박근혜만 할 수 있는 특허품이다.
|
최도철취재부장 기자 / kimcheon@hanmail.net  입력 : 2008년 09월 17일
- Copyrights ⓒ김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경상북도는 15일 서울 아모리스 역삼에서 농식품부와 2024년 농촌협약에 선정된 7개 시군(포항, 김천, 안동, 경산, 청송, 영양, ..
|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는 산불 피해를 본 도내 5개 시군의 조기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버스타고 경북관광’ 사업을 본격..
|
경상북도는 15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2024년 실적 도정성과 우수 시군 과 우수부서에 대한 시상식을 개최하고, 탁월한 성과를 거둔 시군..
|
|
김천시는 매년 차별화된 주거복지 정책을 선보이며,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2025년에도 저출생 문제 해소와 시..
|
2024년 여름, 김천시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봉산면에는 시간당 8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졌으며, ..
|
안경이 시력 교정의 기능을 넘어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그 역할이 변화해가는 트랜드에 발맞춰 글로벌 아이웨어(eyewear)시장에 도전..
|
김천시 감문농공단지에 위치한 차량용 케미컬 제품(부동액, 요소수 등)생산 업체인 ㈜유니켐이 이달(8월)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선정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