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가 17일 이명박 대통령의 경제운영과 인사, 대북정책 등 국정운영 전반을 총체적으로 비판한 것을 놓고, 한나라당 친李계에서는 박근혜 전 대표가 비보도 발언이라 하지만 작심하고 한 발언일 것이라는 추측과, 이명박 대통령 지지클럽인 MB 연대는 정치적 계산이 깔린 발언이라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나 17일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어떠한 정치적 계산이 아닌 MB정부에 대한 불신을 토로 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지난 13일 공성진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촛불시위때도 가만있다 왜 이제 와서 수도권 규제 완화 발표를 하니, 딴죽을 거느냐는 식의 불만을 토로하며 박 전 대표를 향한 공격적 발언을 했었다.
또한 박 전 대표의 침묵정치를 놓고 이명박 대통령과 일정 선을 긋고 가려는 의도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 동안 박 전 대표의 침묵은 이명박 대통령과의 청와대 회동에서부터 기인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총선이 끝나고 복당문제로 시끄럽던 때에 공천심사에 불만을 품고 탈당하여 박 전 대표의 이름을 걸고 출마했던, 친박연대 서청원대표의 공선법 관련 검찰의 일방적 기소에서부터 침묵정치는 시작 돼었을 것이다.
당시 박 전 대표는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 및 김노식 양정례의원을 기소한 것을 놓고 청와대 회동에서, 매일 청와대에서 검찰에 전화를 넣고있다는데 라며 보복수사 의혹을 제기하므로 써 파문이 일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매번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의 보복수사라는 점을 놓고 연일 발언 할 입장이 아니었다.
이미 친박 복당문제를 거론하면서 복당녀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수사 중인 사건이 결과도 맺지 않았는데, 정치핵심인사가 보복수사라고 단정을 짓고 의혹제기 발언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은 모양새부터가 적절치 못하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보복수사 의혹을 제기 했다면 다음 수순은 당내 친박이나 무소속연대 친박계가 발 빠르게 이의를 제기하고 친박연대 살리기에 나섰어야 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었다.
그러나 친박계에 누구도 친박연대 보복수사 의혹을 제기하지 않고 발언조차도 꺼려했다.
국회가 개원되고 상임위장 자리가 이들에겐 더 큰 관심사 이었으니 박 전 대표로서는 기가찰일이 아니겠는가.
결국 박 전 대표는 이들을 믿고 이들과 힘을 합쳐 차기 대권도전에 순항할 것인가를 점치며 회의적인 생각에 침묵하며 내 식구는 내가 손수 챙기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했다.
지난 12일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를 비롯한 3명의 국회의원 항고심에서 마저 원심과 같은 의원직 상실형이 선고됨에 따라 서청원 대표를 죽임으로서 박 전 대표를 고사시키기 위한 보복수사의 결과라고 판단했을 것이며, 김무성 의원의 지난달 말 이명박 대통령의 형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과의 비공개 만남이 작금에 알려짐에 따라, 박 전 대표의 심기를 불편케 했을 것이며, 청와대 관계자는 극구부인하고 있지만 방미중인 이명박 대통령과 미국에 체류 중인 이재오 전의원과 전격회동설이 여권 핵심관계자가 발언하므로 써 박 전 대표로서는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 한다는 것은 실익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기에 강도 높은 발언으로 정면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는 대법원 항소의 뜻을 밝힘으로써 당분간 박 전 대표는 침묵모드로 회귀 할 것으로 보인다.
대법 판결이 확정될 즈음 이재오 전의원은 귀국길에 들어서 복귀를 서두를 시기이며, 대법 판결에서 마저 친박연대 국회의원들의 뺏지를 앗아간다면 박 전 대표로서는 더 이상 MB정권과 함께 갈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을 할 것이며, 향후 한나라당은 깊은 소용돌이에 휘말리며 MB레임덕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결국 MB 정권은 당화합을 이루고 이재오 전의원을 복귀시키며 보복과 막가파식 정치를 중단하고 서청원 대표를 살리므로 써 MB정권이 탄탄대로의 길을 갈 것인가를 무게의 중심에서 저울질하며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