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학원 재단정상화 추진위원회는 박 전 대표측으로부터 재단정상화에 협력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20년간 임시(관선)이사 체제로 유지되어온 학교법인 영남학원 재단 정상화 문제가 임시이사 체제 직전까지 이사로 있었던 박근혜 전 대표의 협력 의지 표명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앞서 추진위원회는 영남학원 산하 기관 구성원 2천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구성원들의 의견이 `구 재단 이사들의 정식재단 이사회 참여'로 모아짐에 따라 정식 재단 참여 거부의사를 분명히 한 이사 3명을 제외한 박 전 대표에게 이사회 참여 의사를 밝혀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었다.
박 전 대표는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 요청에 따른 회신'이라는 제목의 공문에서 "영남학원과는 개인적으로 특별한 관계"라고 밝히면서 "사회발전을 위해 영남학원이 명문사학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또 "재단정상화는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공감하며 향후 재단 정상화에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노석균 정상화추진위원장은 "박 전 대표가 이사회 참여 의사를 직접 피력한 것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협력 의사를 밝혀옴에 따라 영남학원 재단정상화에 더욱 탄력이 붙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추진위원회는 다음주 중 대학 구성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을 알리고 재단정상화를 위한 의지를 모은다는 방침이다.
대구대와 청구대를 통합해 1967년 출범한 영남대는 법인 정관 1조의 규정에 따라 박 전 대통령이 임명한 대리인들이 총장과 이사를 맡아오다 1980년 이후 박 전 대표와 동생 근영씨 등 두 사람이 이사장과 이사로 활동해왔다.
박근혜 전 대표는 영남대가 관선이사 체제로 전환하기 직전인 1989년까지 학교운영을 맡아 왔다. 그러나 1988년 11월경 구 재단 이사회가 모두 물러나면서 20년 동안 관선 임시이사 체제를 유지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