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론 어려운 자가 이웃 조병우 (김천제일교회 담임목사) 미국 스탠포드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던 두 남학생이 있었습니다. 학비가 모자라자 두 사람은 돈을 벌 궁리를 했습니다. 그리고 짜내었던 아이디어가 당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폴란드의 피아니스트인 파데레프스키를 초청해 음악회를 열면 출연료를 주고도 남는 장사라고 생각했습니다.
두 학생의 제의를 받은 파데레프스키의 매니저는 출연료로 2천 달러를 요구했습니다. 두 학생은 열심을 다해 음악회를 준비했지만 결과는 예상과 달랐습니다. 음악회 총 수입이 1600달러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하는 수 없이 1600달러와 모자라는 400달러는 앞으로 갚겠다는 증서를 만들어 파데레프스키에게 갔습니다. 설명을 다 듣고 난 세계적인 음악가는 그들이 보는 앞에서 400불 차용증서는 찢어 버리고 1600불을 다시 돌려주면서 “수고들 많았습니다. 이 돈으로 경비를 갚고 그러고도 돈이 남거든 둘이 10% 나눠 갖고 또 그러고도 돈이 남거든 그때 나한테 돌려주시오”라고 말했습니다.
그로부터 오랜 세월이 지났습니다. 유명한 음악가인 파데레프스키는 폴란드의 수상이 됐고 세계 대전이 끝나자 폴란드는 경제 공항으로 국민들이 굶주림과 싸워야 했습니다. 수상이 이 사실을 미국에 호소하기로 하고 준비를 하고 있던 어느 날 미국으로부터 대량의 원조 식량이 도착했습니다. 그래서 위기를 모면하게 됐습니다.
이 일을 감사하기 위해 그때 불란서 파리를 방문 중인 당시 미국의 식량 국장이었던 미국의 제31대 대통령 후버를 찾아가 정중하게 감사를 했습니다. 그러자 후버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천만에요 저는 신세를 갚을 뿐입니다. 수상께서는 기억을 못하시겠지만 제가 대학에 다니며 어려움을 당할 때 저를 크게 도와주신 일이 있었습니다.” “무슨 말씀이신지요?”라고 의아해했습니다. 후버는 “스탠포드 대학 음악회가 생각나지 않습니까? 그때 음악가였던 귀하에게 은혜를 입은 그 학생이 바로 저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주님은 “누가 이웃이냐”는 질문을 던지고 “바로 우리 앞에 어려움 가운데 있는 사람이 바로 우리의 이웃”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앞에 가난과 질병의 강도에게 상처 입고 쓰러져 있는 자들이라고 했습니다. 갇힌 자, 병든 자, 굶주리는 자, 헐벗은 자, 어려움에 처해 있는 사람이 이웃입니다. 우리 앞에 어려움에 있는 자를 돕는 것이 바로 이웃을 돕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