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론-부부의 날을 맞으며
배영희 (교육학박사·효동어린이집 원장)
5월21일은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부부(夫婦)의 날이다. 가정의 달 5월 이날을 둘이 하나 된다는 뜻으로 정한 것인데 부부관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화목한 가정을 일궈나가자는 취지로 제정되었다.
생각해보면 부부란 인생을 통틀어 가장 특별한 만남 같다. 남남이었던 두 사람이 지구인구 60억 중에 단짝으로 만나 부부라는 인연으로 한 가정을 만들고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삶을 공유하는 일심동체이지 않는가.
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은 결혼하기 전에는 서로 잘해주려 하지만 결혼만 하고 나면 서로 받으려 하니 부부싸움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흔히들 좋아할 때는 눈에 콩깍지가 씌어 모든 게 예뻐 보이지만 살아갈수록 서로 자라온 환경이 다르고 성격이 다르고 취미나 추구하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오해를 하거나 섭섭해 하고 심지어는 미워하는 마음까지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부의 날이 생기지 않았을까.
부부는 혈연으로도 인적관계로도 따질 수 없는 무촌관계다. 한 번의 인생은 부모의 뱃속에서 태어났다면 또 한 번의 인생은 결혼식 때 백년가약을 통해 태어나는 천생연분이다.
부부의 날을 맞이하며 어떻게 하면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며 행복하게 잘 살 수 있을까를 생각해본다.
부부간의 사랑이란 한번 심었다고 피는 꽃이 아니라 늘 물주고 가꾸어야만 하는 정원과도 같다. 바쁜 현실 속에서 살다보면 가장 귀한 사람인데도 가장 소홀하기 쉽기 때문에 서로 바라봐 주고 서로 다독여 주며 오순도순 살아야겠다.
세상살이를 ‘층층만층구만층’이라 했다. 즉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면 또 계단이 있고 또 계단이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 ‘이 다음에 잘해줄게’도 중요하지만 1년에 하루 부부의 날만이라도 결혼식장에 섰던 그 첫 마음으로 돌아가 보자. 내 옆에 당신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했고 나와 같이 잠자고 아침에 눈뜬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지 않았던가.
남편과 아내는 기쁠 때나 슬플 때나 힘들 때나 아플 때나 서로를 위해 세상 끝까지 동행하겠다고 여러 사람 앞에 혼인서약을 했다.
우리는 그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 서로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겠지 생각해주고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며 이해하고 감싸주자. 어쩌면 부부는 단점을 보완해 주는 영원한 파트너 인지도 모르겠다.
필자는 결혼 첫날부터 하루에 한 장씩 쓰기 시작한 편지가 벌써 365장 10권이 되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부족한 나를 위해 짝이 되어준 그가 진심으로 감사하기 때문이다.
오늘 새삼 아내인 나로서는 ‘아내의 말 한마디가 남편의 인생을 결정 한다’는 것을 되새기고 남편은 ‘따뜻한 가슴으로 아내를 부르면 아내가 저절로 어깨춤이 나온다’는 부창부수(夫唱婦隨)를 생각하자.
가정은 행복을 만드는 공장이다. 돈이고 명예고 자식이고 다 좋지만 부부 이상은 없는 듯하다. 어차피 무덤까지 같이 갈 우리.
오늘 저녁엔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서로에게 와인 한 잔 앞에 놓고 “여보 감사해요”, “당신, 사랑해요” 따뜻한 이 한마디를 나누는 특별한 날이 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