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YMCA 환경사업부와 강살리기 시민모임은 ‘아포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주민들의 요청’과 ‘부평 DRMO(주한미군 물자 재활용 유통센터) 금년 이전’이라는 언론보도에 따라 이 시설에 대한 환경문제의 발생가능성을 제기하고 철저한 관리와 성의 있는 대응을 청하는 성명을 2월11일 발표했다.
DRMO에 대한 너무나도 많은 문제점과 횡포를 보아왔다. 동시에 DRMO가 있었던 지역들에게서 본 환경문제는 분명 ‘심각함’을 넘어 ‘위험함’이었다. 이런 위험과 문제점을 우리지역 주민은 분명하게 바르게 알아야 하는 것은 우리의 당연한 의무이며 권리이다.
이런 시민들의 우려의 목소리는 김천시의회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했으며 같은 맥락에서 3월 초 김천시는 김천YMCA에 ‘3월 18일 김천시 공무원, 시의원들, 기자들과 함께 아포 DRMO의 설명회에 참가’를 요청했다.
그러나 지난 3월 24일, 김천시는 약속한 날짜를 일방적인 전화통보로 “3월 28일로 연기되었으며 민간인은 출입이 상부(미군)의 허락이 없으면 불가능하게 되었으니 시의원과 공무원들이 가게 되었다”며 “다음 기회에…”하며 말꼬리를 흩고는 지금까지의 일은 없었던 일로 하자고 한다.
웃기는 일이다. 윗사람의 명에 따라야 하는 하위직 공무원의 심정을 모르는 바 아니다. 또 언제는 먼저 청하더니 이젠 핑계거리를 찾아 말을 돌릴 수밖에 없는 우리의 실정(미군과의 관계)을 생각하니 한편 아픈 마음 금할 길 없다.
아포 DRMO 측에 묻는다. 군사기지가 아닌 재활용품 수리, 유통·판매시설이라면서 민간인의 출입을 거절하는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그곳에서는 시민들, 특히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시민들이나 시민단체가 알아서는 안 되는 은밀한 구석이 있다는 말인지? 혹 김천시민이나 인근지역민이 절대 몰라야하는 비밀이 존재한다는 것인지?
그러면서 과연 돈 200억 원으로 모두가 타기시하는 그 시설을 유치하려고 호들갑 했던 사람, 그 곁에서 같이했던 사람들이지만, 시설의 진면목이나 실체적인 진실까지 알게 할 과거 판단의 실수인정과 시설에 대한 분석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이 있는지? 기자들 배제하고 그 내용을 시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지 의심은 끝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