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은 노후준비 수단으로서 국민연금이 각광을 받으면서 예전에 일시금으로 받았던 금액을 반납하거나 소득이 없었던 기간의 연금보험료를 추후 납부한 사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8년 1월부터 2011년 3월(39개월)까지 18만3천명이 5천155억원을 반·추납해 총 832만 개월의 가입기간을 복원했으며 반․추납자 1인당 평균 282만원을 납부해 46개월의 가입기간을 복원했다.
이러한 반․추납자는 2008년 월평균 2천명 수준에 불과했으나 2009년 5천명으로 증가했고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2010년 이후에는 월평균 6천명으로 지속 증가해 왔다.
반․추납하는 사람들은 노후준비가 취약한 서민층과 노후준비가 시급한 40~50대 남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월 소득금액 150만원 미만 저소득층 및 서민층이 14만7천명으로 전체 반·추납자의 80.3%를 차지했다.
공단관계자는 “반․추납자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은 최근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국민연금이 가장 보편적인 노후준비 수단으로서의 인식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2009년부터 반․추납 대상자에 대해 개별 노후설계 상담을 통해 가입기간 10년 미만 고객에게는 10년을 채워 연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 가입기간 추가를 통해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국민연금 기금운용 최대 성과인 30조원 수익과 2년 연속 두자리수 수익률, 연금수급자 300만명 돌파, 내 연금 갖기 캠페인 등으로 국민 신뢰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전광우 이사장은 “금년 4월 행복노후설계센터 140개소 설치를 계기로 앞으로도 고객 눈높이에 맞춰 국민연금을 충분히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장애인․전업주부 등 노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개인별 맞춤형 노후재무 및 생활 상담을 실시해 보다 많은 국민이 체계적으로 행복한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