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김천신문사 |
|
김천서부초등학교에서는 독서의 달을 맞아 가족과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도서관에서의 다양한 행사를 직접 체험해봄으로써 독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지난 21일 교내 도서관에서 행사를 가졌다.
이날 가족 참가자들은 패밀리 북 만들기, 그림책 슬라이드 상영, 가족 상장 주기, 책도장 맞추기 등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간의 결속을 다지는 시간을 가진 것.
특히 책제목을 맞추는 게임을 통해 학교 측에서 준비한 문구세트 등 푸짐한 상품도 받았다.
강영구 교장은 “온 가족이 함께 독서하는 기회를 마련해 독서 의욕이 고취되고 가족간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독서의 중요성과 즐거움을 스스로 느끼게 함으로써 독서하는 습관이 길러질 것”이라며 학교에서 추진하는 독서 교육 및 독서 행사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
 |
|
ⓒ (주)김천신문사 |
|
<<패밀리북 만드는 방법>>
1. 책 표지에 사진을 붙이고 꾸며준다.
2. 책 속지에 써져 있는 설명대로 한다.
1쪽 - 우리 집 자랑하기
2쪽 - 자녀가 부모님께 (‘나’는 우리 부모님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3쪽 - 부모님이 자녀에게 (‘나’는 우리 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4쪽 - 자녀가 부모님께 (고맙습니다 & 이런 점이 좋아요)
5쪽 - 부모님이 자녀에게 (고마워요 & 이런 점이 사랑스러워요)
6쪽 - 자녀가 부모님께 (죄송합니다 & 약속드려요)
7쪽 - 부모님이 자녀에게 (미안해요 & 약속할게요)
8쪽 - 자녀가 부모님께 (꼭 드리고 싶은 선물이 있어요)
9쪽 - 부모님이 자녀에게 (꼭 주고 싶은 선물이 있어요)
10쪽 - 가족 상장주기 (자녀가 부모님께)
11쪽 - 가족 상장주기 (부모님이 자녀에게)
12쪽 - 우리 가족 상징으로 나타내기
3. 책 뒷면에 하트를 채워 준다. 행복한 만큼!^^
<<책도장 만드는 방법>>
1. 책도장은 책의 겉장이나 속지에 찍어 책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책 마다 소중하게 자기만의 표시를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요.
2. 책도장을 만드는 방법
1) 밑그림을 그린다.
- 책도장의 일반적인 형식과 도안을 참고한다. 기름종이에 크기와 용도에 맞게 밑그림 을 완성한다.
2) 완성된 밑그림을 지우개에 찍어 그림이 새겨져 나오도록 한다.
3) 지우개에 새겨진 모양대로 조각칼로 새긴다.
3. 도장이 완성되면 찍어보아서 잘못된 부분은 수정한다.
* 글자(그림)가 까만색으로 나오게 하려면 글자(그림) 이 외의 부분을 파내고 글자(그림)가 하얀색으로 나오게 하려면 글자를 파내야 합니다.
* 지우개에 바로 밑그림을 그려서 조각칼로 새기게 되면 종이에 찍었을 때 원하는 그림이 반대로 찍히게 됩니다.
지우개에 바로 그릴 때는 밑그림을 반대로 그리거나 기름종이에 그림을 그려 지우개에 찍어서 새겨야 합니다.
공부 잘 하는 아이로 키우는 집
김천서부초등학교 교장 강영구
공부에 정도가 있을까? 공부에 도움이 되는 부모는 어찌하면 될까? 공부 잘하는 집 애들은 뭐가 다를까? 엄마들의 오랜 물음이다. 일본의 주택 종합 컨설팅 전문가인 시지마 야스시는 그 답을 ‘집’에서 찾았다. 주거환경과 집안 분위기가 아이의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6년간 일본의 명문 사립 중학교에 입학한 아이의 집 200곳을 직접 방문한 뒤 내린 결론이다.
1. 아이 방을 고립시키지 마라.
머리 좋은 아이들은 가족과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을 나누고 있었다. 방문을 열어두거나 방문의 재질을 바꿔보자. 방문 대신 커튼을 다는 것도 방법이다. 정서적인 소통을 돕기 위해서다.
2. 집 전체를 공부방으로 만들라.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자기 방에 틀어박혀 있지 않고 집안 곳곳을 옮겨 다니며 공부하고 있었다.
3. 6개월에 한 번씩 이사하라.
형제끼리 서로 방을 바꾸거나 형의 방은 공부방으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보자.
4. 공유할 수 있는 추억의 공간을 연출하라.
가족의 책을 한데 모아 모두가 공유하는 책꽂이를 만들라. 책을 꼭 책꽂이에만 꽂아야 한다는 선입견은 버려라.
5. 어머니의 공간을 멋지게 꾸며라.
어머니가 쾌적한 환경에서 즐겁게 일하는 모습은 아이에게도 커다란 기쁨을 준다.
6. 아버지의 존재를 느끼게 하라.
거실에서 아버지가 신문 넘기는 소리만 들려와도 아이는 안도감을 느끼며 공부에 집중할 수 있다.
7. 종종 손님을 초대하라.
부모가 아닌 다른 어른을 접하는 것은 아이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8. 오감을 자극하는 공간을 만들어라.
시각 자극에 효과적인 소품으로는 거울이 있겠다. 바람이 불 때마다 소리가 달라지는 모빌도 좋다.
9. 글로 의사소통하라.
교환 일기를 쓰듯 아이와 메일을 교환해보자. 목표, 소망, 계획, 규칙을 글로 공유하자.
10. 갤러리 공간을 만들어라.
집안을 갤러리로 만들어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