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김천신문사 | |
권숙월 열한 번째 시집 ‘가둔 말’이 발간됐다. ‘참 따뜻한 공부’, ‘골목 봉숭아’, ‘원이 엄마’, ‘직지천 갈대’, ‘봄, 나무 입’ 등 71편의 시를 5부로 나눠 수록한 ‘가둔 말’이 발간된 것. 나무들이 장맛비에 몸을 맡겼다/ 평생 태어난 데 사는 나무도/ 마음이 젖을 때가 있구나/ 몸 섞고 사는 이웃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가둔 말이 있구나 표제 시 ‘가둔 말’ 일부분이다. 해설은 장무령 시인이 썼다. 장 시인은 ‘자연을 전유한·자연에 전유된 언어의 아름다움’ 제목의 해설을 통해 “권숙월 시집 ‘가둔 말’은 자연을 통해 삶의 이치를 터득한 시선이 묘파한 아름다움을 노래한다”고 풀이했다. “권 시인의 언어는 자신의 것을 전면에 내세우는 복잡한 이해득실의 셈법을 해제하고 비로소 드러나는 나 밖의 공간인 자연으로 향하며 가장 자명한 수준에서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는 한편 궁극적인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으로 모아진다”는 것이다. 시집 ‘가둔 말’ 표4 글은 호서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김천 출신 김종태 시인이 썼다. “권숙월 시인의 시세계는 자연친화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고 있다. 그 애정이 때로는 연민과 포용의 정서로 변주됐고 때로는 기지와 익살의 양식과 만나면서 비유와 상징의 정도를 잘 지켰기에 주법의 날실과 올실은 더욱 입체적이고 감각적으로 발전해갔다.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순간적 통찰‘ 존재의 원리를 찾아내는 능란한 사유, 이것들을 아우르는 섬세한 연상과 상상의 힘은 편편마다 언어 주술을 이뤄냈으니 여기 열한 번째 작품집 ’가둔 말‘이 있다.” 권숙월 시인은 시인의 말을 통해 “시는 쓰기도 좋아야 하지만 읽기도 좋아야 한다는 생각에 시작한 12행 시 쓰기, 언제일지 모르지만 천 편을 채울 때까지 이어가고 싶다”고 했는가 하면 “시와 담을 쌓고 사는 사람도 고개 끄덕이며 읽어줄 쉽고 재미나는 시를 쓰기 위해 모국어를 갈고 다듬는 시간을 더 많이 가져야겠다”고 자신의 심정을 피력했다. 1979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나온 권숙월 시인은 김천문학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김천지부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김천신문 편집국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김천문화원과 백수문학관에서 시를 가르치고 있다. 그동안 ‘동네북’, ‘하늘 입’ 등 열권의 시집을 발간했으며 시문학상, 경북도문화상, 경북예술상, 김천시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