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금의 도매시장 운영 실태를 분석해 보면 중앙도매시장에 대한 물량 편중화가 심화되고 있어 지방도매시장의 기능약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함께 농산물 유통형태 다원화(대형마트 직거래, 온라인 거래 등)로 지방(산지)도매시장은 점진적 사양화 길로 접어들고 있다.
도매시장의 정의는 공익적, 사회적 역할을 지속화하기 위한시설로서 도매시장별 특성과 시장 종사자들의 역량과 운영 특성을 감안할 필요성을 지니고 있다.
지방도매시장은 산지도매시장, 소비지도매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지방(산지)도매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1) 산지도매시장은 집하, 선별, 포장 기능 확대와 병행하여 상품개발기능 강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2) 소비지도매시장은 상품기능 강화와 함께 시설확충을 통한수급조절의 기능강화, 소비자 욕구충족을 위한 선별과 소포장 기능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3) 이를 위해서는 시장 종사자(시장 도매법인, 우량중도매인)와 함께 시장개설자의 의지와 도매시장 역할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중앙정부차원의 도매시장 담당부서 설치는 물론 지원책 마련이 되어야 지방도매시장이 활로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임을 제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