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네 트럭을 타고 시장에 나온 어머니들. 내리기 바쁘게 짐을 수레에 싣거나 머리에 이고 골목 가장자리에 순서대로 자리를 정했다.
좌판을 빈 포대와 지나간 달력으로 대신하고 단감 열개씩, 모과 네 개씩 서너 무더기를 만들고 누렇게 익은 호박 네 개는 마치 기마전 하러 온 병사들 모양 만들었다. 한 무더기에 오천 원씩이나 덤을 준다는 것쯤은 대부분 알고 있다. 손님 맞을 준비가 끝나자 지난 밤 잠을 설친 탓에 부수수한 얼굴로 웅크리고 앉았는데 따사로운 햇살 따라 손님이 몰려오니 이곳저곳에서 사가라고 외치는 소리로 시장은 활기가 넘친다.
만수네는 단감을 쪼개서 손님들에게 맛을 보이며 장사를 한다. 더 달라는 사람에겐 덤으로 더 주고 다음 장날에 또 오라는 부탁도 잊지 않는다. 해자네 호박 네 개가 오천 원이니 큰 것은 이천 원, 작은 것은 천원에 팔면 될 것 같은데도 큰 것 한 개만 사려는 사람에게는 팔지를 않는다. 따로 팔면 작은 것을 못 팔기 때문이라고 한다.
손님들이 큰 호박에만 관심을 보이자 만수네 해자네 옆구리를 쿡쿡 찌르며 “삼천 원에 달라고 해봐” 작은 소리로 일러준다. 그 말을 듣고 정신이 번쩍 든 해자네가 “삼천 원 내라”고 하니 손님은 “한 개가 삼천 원이면 너무 비싸다”며 오천 원을 내고 몽땅 사 가지고 간다.
가져온 감도 여기 저기 아는 사람 앞에 나누어 가져다 두어 팔리게 하고 시누이네 대파도 잘 팔아 준다. 시내에 산다는 시누이는 화장을 곱게 하고 모자를 푹 눌러쓰고 대파를 가져 왔는데 난생 처음으로 시장에 나와서 아는 사람이 나타나면 장사는 안 하고 숨바꼭질을 한다. 그래서 만수네가 팔아주기로 했다. 영희네는 포대에 덩굴 콩을 담아와 껍질을 까며 파는데 콩이 귀하니 잘 팔리고 메뚜기는 없어서 못 판다.
펼쳐둔 농산물이 하나 둘 장바구니에 담기는데 해자네는 병원에 가고 철수네는 농협에 가야 된다며 부탁을 하고 갔다 병든 모과도 잘 팔린다. 한때 모과도 인기가 좋았지만 요즘은 땅에 떨어져 굴려 다녀도 아무도 주워 가지를 않는다. 그러나 이 모과는 색깔이 곱고 고목에서 떨어진, 약도 안친 무공해라 하니 손님들은 “벌레가 나올 것 같다”느니 “칼로 쓸기가 힘이 들겠다”고 투덜거리면서도 “생강 넣고 꿀에 제어 두었다가 감기에 차로 마시면 좋다”며 덤까지 챙긴다.
만수네는 장사를 잘 한다. 그 많던 단감을 다 팔고 홍시는 조금 남았는데 시누이 주면 된다고 걱정도 안 한다. 철수네 땅콩 두 되는 못 팔았는데 “만 팔천 원 주려고 할 때 팔 걸 이만 원 받으려고 안 판 것이 후회가 된다”며 “다음 장날에 팔아야겠다”고 한다.
북적거렸던 장터가 썰물이 빠져 나가듯이 조용해지니 끼리끼리 둘러앉아 서 배달 되어온 음식을 먹고 집에서 싸온 도시락을 먹는 모습도 보인다. 찰밥을 싸 가지고 와 친구끼리 좀 먹어보라고 던지기도 한다.
해자네와 영희네는 장사를 마치고 맞은편 그늘에 앉아서 만수네가 집에 가기만을 기다린다. 만수네는 시누이 파 네 단이 남았는데 두 단은 집으로 가져가고 두 단은 팔아야 되겠다고 손님 오기만을 기다리는데 마침 지나가던 아주머니가 사 가지고 가자 만수네가 일어났고 영희네와 해자네도 웃으며 따라 일어났다. 철수네도 땅콩을 들고 일어났다.
차가운 바람은 시장을 한 바퀴 휘돌아나가고 시장을 떠나가는 네 사람의 뒷모습은 잘 익은 호박처럼 둥글고 아름다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