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i김천신문 | |
국민연금공단 김천성주지사(지사장 이양구)는 지난 24일 대구․경북 지역에서 2013년 한해동안 45만명의 수급자에게 1조 5천90억원의 연금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관내 지역인 김천시와 성주군 기준으로는 2만명의 수급자에게 613억원(김천시 424억원, 성주군189억원)의 연금을 지급했다. 또한 20년 이상 가입한 연금수급자가 735명으로 평균 연금월액은 72만원에 이르며 월 100만원 이상 연금을 받고 있는 수급자는 91명으로 5년 전(2008년)에 비해 91명이나 증가했다. 특히 김천시․성주군의 연금 수급액에 대한 수급자 비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5년 전(2008년)과 비교해 볼 때 20만원 미만의 소액 연금 수급자가 전체 수급자중 차지하는 비율은 대폭(68.41→41.96%) 감소한 반면, 40만원 이상 수급자 비율은 3배 이상(4.81→ 14.33%) 증가했다. 이는 국민연금 수급금액이 점차 늘어나고 있어 노후 생활을 위한 안정적인 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구․경북 수급자 중 최고액은 월 157만2천770원, 최고령 수급자는 102세이며, 관내(김천성주지역) 수급자 중 최고액은 월 129만 5천655원, 최고령 수급자는 94세(유족연금 수급 중)이다.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서는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천시․성주군의 경, 부부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연금수급자도 920쌍이며, 그 중 최고로 연금을 많이 받는 부부 수급자는 합산해 월 184만원을 수령 중이다. 은퇴부부가 기대하는 부부합산 최저 생활비가 월 133만원 정도임을 감안할 때 신규 노령연금수급자의 평균연금월액 50만4천원(2013년 기준)을 각자 수령할 경우 부부가 총 100만원을 지급받게 되므로 최저생활비의 상당부분을 국민연금으로 충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부가 함께 가입해서 각자의 연금을 받아 훨씬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전업주부 등 임의가입 신청이 지속적으로 증가(전국, 2013.12월 말 기준 임의가입자 176,687명 중 여성가입자는 148,347명으로 84%)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양구 김천성주 지사장은 “국민연금이 노후소득의 주춧돌인 만큼 개인별 맞춤형 연금설계 서비스로 개인에게는 행복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적으로는 100세 시대에 대처하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 ↑↑ 50대이상 중고령자 5천여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 부부합산 최저생활비 월 133만원, 적정생활비 184만원으로 응답(2011년 국민연금연구원) | ⓒ i김천신문 | | |  | | ⓒ i김천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