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i김천신문 |
어린 왕자를 쓴 생텍쥐페리는 간명하게 지도자란 책임을 지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러나 지도자가 되겠다고 손들고 나오는 그들에게 책임은 무엇이며 애국심은 무엇이고 애향심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선거철만 되면 말로는 개혁과 혁신을 부르짖고 행동은 파렴치한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겉 다르고 속 다른 이 나라 지도자들의 병든 속내는 우리 사회에 혼란만 부채질하는 한 축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이기 때문이다.
<넘어지지 않으려면>
선택의 날이 하루하루 다가온다. 이쯤에서 눈 부릅뜨고 정신 바짝 차리고 살펴보자. 어떤 선택이 가장 옳은 선택인지.
헛짚은 궁리로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되면 그 선택의 덫에 걸려 넘어지게 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그들이 정말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인지, 주변에는 어떤 사람이 있는지 알아야 할 것이다.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지만 특히 중요한 것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애정 있는 이해와 포용력, 그리고 품격이다.
그런데 요즈음 우리나라 정치 현실은 그리 녹녹하지 않다. 국민의 선택권까지 얕잡아보면서 결말이 모호한 일일드라마처럼 비상식과 혼돈으로 몰아가면서 온 국민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동기와 표방하는 명분도 없이 안 되겠다 싶으면 국민의 판단력을 흐리게 하여 비장한 한탕주의로 깜짝쇼를 연출해서 국민의 넋을 빼 놓고 승부수를 던진다. 이런 행위는 한마디로 국민을 향한 테러이며 폭력이다.
철학도 비전도 없이 무조건 되고 보자는 것이 그들의 속셈이요 유일한 전략이며 표방한 명분 속에 내재된 구체적 함의일 것이다.
국민을 대중조작의 만만한 대상으로 얕잡아보는 국민관이며 예의를 모르는 냉소적이고 불손하고 턱없이 모욕적인 국민관이다.
지도자에게 쉬운 문제는 결코 오지 않는다. 쉬운 문제라면 이미 다른 사람이 해결했을 것이다.
“지도자가 해야 될 일이 무엇인가. 국민 스스로가 해결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것이 지도자가 해야 될 일 아닌가.”
노무현 대통령은 취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통령 못해먹겠다”라는 말을 했다가 국민들로부터 지탄 받은 일을 우리는 기억한다.
아무 것도 준비된 것도 없이 “내가 이정도면 한 자리 해먹겠지”라는 생각을 만에 하나 한다면 그것은 무모함을 넘어 무능과 무책임의 산물이 될 것이다.
지도자의 자리는 해먹는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름도 생소한 정치세력이 모여 간판만 바꾸어서 창당을 하고 시간이 촉박하다는 말을 달고 다니는 주제에 비전을 말하고 희망을 말하고 미래창조라는 그럴 듯한 말을 빼놓지 않는다.
온갖 언론을 통해 매명(賣名)하고 정치에 입문해서는 줄서기와 배신을 식은 죽 먹듯이 하면서 말이다. 이것이 정상적인 나라에서 있을 법한 일인가. 대한민국이 이름 모를 후진국인가. 그 뻔뻔함에 기가 막힌다.
<후회 없는 선택>
이제 모든 것은 국민의 선택에 달려있다. 인간수명이 횟수가 아니라 호흡수로 정해져 있다면서 냉정을 권장하는 어느 문화권의 속담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착한 것과 못난 것은 생판 다르며 세상에 악덕이 번창하는 이유는 못난이 때문이라고 그 지혜는 가르친다. 후회는 아무리 빨리 해도 이미 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