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i김천신문 | |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경북도의 역점시책인 ‘청년리더 양성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28일 오전 11시 김천생명과학고를 방문해 특강을 가졌다. |  | | ⓒ i김천신문 | | FTA확대에 따른 시장개방으로 10~20년 후에도 지속가능한 농어업 생산기반의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는 김 지사는 농어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미래 농어업 인력양성으로 꼽고, 김천생명과학고를 찾아 학생들과의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  | | ↑↑ 김관용 도지사 | ⓒ i김천신문 | | 김 지사는 재학생, 학교 관계자 및 청년리더 등 총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특강에서 “입시위주의 농업계고가 이제는 현장 농정인력을 키우도록 교육을 전환한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세계시장이 열리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 농업인재의 양성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  | | ↑↑ 환영사를 하고 있는 황의홍 김천생명과학고 교장 | ⓒ i김천신문 | | 아울러 “농촌의 고령화가 41%에 달하고 도 농간 소득격차가 심화(도시소득의 62.5%)되지만 2030세대들이 농업에서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농정의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 | ↑↑ 빗내농악단 학생들의 무대 | ⓒ i김천신문 | | 이날 참석자 중에는 김천과학생명고를 졸업한 후 청년리더 양성사업 지원을 통해 축산, 과수 등 지역에 정착한 젊은 영농인 4명도 참석해 영농 선배로서의 자신의 경험담을 후배들과 나누기도 했다. |  | | ⓒ i김천신문 | | ‘청년리더 양성 프로젝트’는 경상북도가 2012년부터 역점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농어촌 고령화, 이농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FTA 확대 등에 따른 대외 경쟁력 확보를 위해 농어촌에 신활력을 불어넣을 청년인력 확보가 절실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12년 경북도는 농어촌공사, 농협, 교육청, 학교 등 7개 기관이 참여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영농자금 융자․경북대 특례입학 ․ 선진지 연수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 시행 2년차인 2014년에는 도내 농업계고에 영농희망 학생의 응시율이 2:1에 이르고 전국 농과계 교육의 롤모델로서 각지에서 벤치마킹 요청이 쇄도하는 등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  | | ⓒ i김천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