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소득이 있으면 국민연금에 가입해 연금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흔히 아르바이트라 통칭되는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시간제근로자의 경우 1개월 이상 근무를 하고 소정근로시간이 월 60시간 이상 또는 주당 평균 15시간 이상이면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로 가입해야 합니다. 연금보험료는 기준 월 소득액의 9%가 고지되며, 그 중 사용자가 50%를 부담하고 본인의 월급에서 나머지 50%가 공제됩니다.
만약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그만두면 사업장가입자 자격은 상실되는데 향후 직장에 들어가거나 개인사업을 하면 다시 국민연금에 가입하게 되고 이렇게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될 때는 노후에 노령연금으로 받으며 가입 중에 발생한 질병이나 사고로 장애를 입거나 사망 시 장애연금이나 유족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많지 않은 급여에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게 큰 부담이 되겠지만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장애, 사망시 연금을 지급해 국민들의 생활안정을 돕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의 취지를 이해해 성실히 가입해 향후 그 혜택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 아르바이트 시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가입기준 - 가입 기준 : 소정근로시간이 월 60시간 이상 또는 주당 평균 15시간 이상인 경우 연금보험료율 : 월평균소득의 9% (근로자 본인과 사용자가 50%씩 부담) 국민연금 김천성주지사 / 국번없이 13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