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소방서는 관내 아파트, 상가 등 소방안전관리 대상물에 대해 폭발위험이 있는 노후 가압식 소화기 조기 교체 지도에 나섰다. 1999년대 생산이 중단된 가압식 소화기는 용기가 부식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누르면 폭발할 수 있어 대단히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노후 소화기로 불을 끄던 60대 남성이 폭발한 소화기 파편에 맞아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소방서에서는 제조 후 8년이 지난 소화기는 폐기를 권고하고 있으며 폐소화기는 가까운 소방서에서 수거받고 있다. |  | | ⓒ 김천신문 | |
분말 소화기는 ‘가압식’과 ‘축압식’ 두 종류가 있으며 구분방법은 손잡이 부근에 압력계가 없으면 ‘가압식’이고 있으면 ‘축압식’ 소화기이다. 신형(축압식)소화기는 압력계가 달려있어 압력계 바늘이 초록색을 가리키면 정상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박근오 소방서장은 “일부 시민은 전에 쓰던 소화기를 충전·충약해서 재사용하면 안 되냐고 물으시지만 이 방법은 소화기의 안전상태를 보장할 수 없어 소방서에서 권하지 않는다. 소화기는 화재현장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소방시설로서 화재 발생 시 소방관 10명 몫을 할 수 있는 시설이다. 소화기는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하시고, 압력계 바늘(초록색)을 수시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