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김미경 김천의료원장 |
ⓒ 김천신문 |
“지역주민들에게 신뢰받는 병원·경영성과가 도내 1등을 넘어 전국 1등을 넘보는 병원·하지만 어려운 이들에게 먼저 찾아가 손 내미는 병원”
김천의료원 하면 떠오르는 새로운 수식어들이다. 공공병원이라는 딱딱한 이미지로 점철됐던 김천의료원은 1년 전인 2월 26일 김미경 원장이 오면서 확 달라졌다.
5개월째 병상이 모자라 대기 환자가 늘더니 병실이 없어 수술 예약 환자가 발을 동동 구르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김천의료원 관계자는 “입원 환자도 그렇지만 외래 환자도 많이 늘어 몰려드는 차량들로 주차장이 부족해 애를 먹고 있다”고 밝혔다.
김천의료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병실가동률(현 입원 환자 수·허가병실 수)이 91%를 넘어선 이후 25일 현재 96.4%로 치솟았다. 2015년 전체 외래 진료 환자 수도 22만9천302명으로 하루 평균 833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메르스 영향을 감안한다면 일일 평균 1천여명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수술·시술 건수도 5천942건으로 하루 평균 16.27건이었다는 것이다.
김미경 원장은 “내가 와서 바뀌었다기보다 모든 직원들의 피와 땀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면서 “일일이 얘기하지 않아도 내 일처럼 알아서 열심히 해준 직원들에게 너무 고맙다”고 했다.
이와 같은 급성장세에 힘입어 김천의료원은 지난해 경북도내 공공병원 중 최고의 경영성과를 올렸다. 비록 당기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지만 2~3년 내에 다시 정상 궤도에 들어설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공공병원이 수익을 올리는데 너무 힘을 쏟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  |
|
↑↑ 김미경 의료원장 |
ⓒ 김천신문 |
김 원장은 “의료원은 일반 병원과 달리 공공성과 건전경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지 않으면 안 된다”고 밝히고 “때문에 적절하고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하되 발생하는 수익은 지역사회에 환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부임하자마자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등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에 많은 힘을 쏟았다.
지난 한 해 김천의료원은 총 5억9천만원(도비 1억2천만원, 국비 3천만원 포함)의 예산을 투입해 찾아가는 행복병원,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안전망 구축 사업, 거점치매센터 사업, 해외 의료봉사 등을 통해 2만2천937명에게 갖가지 도움을 줬다.
올해는 7억4천500만원(도비 3억500백만원, 국비 3천만원 포함)의 예산을 편성해 2만4천여명의 취약계층이 각종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해나갈 예정이다.
김천의료원은 또한 공공병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큰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일반 병원에서는 갖추기 어려운 고가의 의료시설과 장비를 마련하는데도 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 메르스가 창궐했을 때 미리 설치한 음압 병실 때문에 지역 주민들이 큰 덕을 봤다.
이런 김미경 원장에게도 고민은 있다고 했다. 김 원장은 “의료원이 공공병원이라는 예전 이미지 때문에 ‘시설이나 장비가 낙후돼 있지 않을까’하는 편견이 있어 힘들다”면서 “매년 10억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해 CT, MRI 등 고가의 현대화된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어 굳이 큰 대학병원에 가지 않아도 똑같은 검사, 진단, 수술 등 최신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이어 “정부로부터 받은 98억여원으로 내년 말을 목표로 건물 증축을 끝낼 예정”이라며 “완공되면 호스피스병동, 재활치료센터, 전문화된 중환자실 등이 갖춰져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김천의료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미경 김천의료원장은 “현재의 성과를 내기까지 개인을 희생하면서까지 함께 노력한 직원들을 볼 때면 안쓰러운 마음이 들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면서 “업무 때문에 지치고 때론 상처받은 직원들의 마음도 다독이도록 항상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
|
↑↑ 김미경 의료원장 봉사활동 |
ⓒ 김천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