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천신문 | |
한국건설관리공사 노동조합과 조합원들은 세종시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앞에서 민영화 완전철회와 공적기능 쟁취를 위한 1인 시위와 투쟁집회를 19일 오후2시 300여명 규모로 세종시기획재정부 앞에서 가졌다.
이번 투쟁집회는 2008년 MB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따라 민영화 대상기관에 포함돼 총 6차례 매각 시도가 모두 유찰됐으나 아직도 민영화라는 굴레가 씌워져 아무런 자생활동을 하지 못하고 해당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의 무관심속에서 생존권 보장을 위한 500명 노동자의 아우성이었다.
한국건설관리공사는 국토교통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서 ‘부실공사 방지와 책임감리제도의 조기정착 및 공공감리의 선도적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1993년 국토교통부 산하 4개 공사(도공, 주공, 토공, 수공)의 자회사로 공단이 설립됐다. 1999년 ‘공기업 경영혁신 계획’에 따라 한국건설관리공사로 통합돼 4차례의 쓰라린 구조조정을 통해 거의 3/4의 직원과 이별을 하게 됐다.
이후 정부의 예산지원 한 푼 없이 민간과 경쟁하면서도 공공기관이라는 사명감으로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자체 기술지원 등 공적업무까지 수행했지만 국가 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지방이전으로 인해 수주물량 저하, 신사업 진출 불가 등 정부의 너무나 가혹한 규제 때문에 3년 연속 적자발생과 악화일로에 이르고 있는 경영위기 속에서 500여명의 근로자의 생존권 사수를 위한 행보였다.
투쟁을 이끌고 있는 한국건설관리공사 허진영 노조위원장은 “MB정권의 근시안적이고 졸속적인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발목을 잡혀 기술자들의 외부 유출과 신규사원 채용의 제약 때문에 현 정부의 중점 추진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역행하게 되는 민영화의 완전철회와 건설공사의 안전과 품질관리에 최적화돼 있는 한국건설관리공사에 공적기능을 부여해 건설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하며 향후 대정부 압박을 계속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