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김천신문 |
우리나라 행정부의 각 부서에는 비상등과 경적을 가지고 있는데 유독 그것이 없는 곳이 바로 문화예술을 다루는 부서이다. 연극이 잘 안되고 책이 안팔린다해서 당장 산사태가 나는 것과 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 문화와 예술의 위기는 소리없이 온다. 아주 서서히 눈에 띄지 않게 우리의 목을 조르는 것이다. 헌팅턴의 말대로 냉전이후의 세계는 정치 경제에서 문화 예술과 문명의 패러다임으로 옮아가고 있다. 아랍의 종교국가들 경우처럼 총성이 울려오는 곳은 거의 모두가 문명 분쟁 지역인 곳이다. 전 세계 200여 나라에 3000여의 문명이 다른 종족들이 살고 있는 것이 오늘의 세계이다. 그러니 문명 분쟁과 그 충돌은 날이 갈수록 가속화 할 것이 분명하다. 국경없는 세계가 될수록 문명의 정체성은 사활을 건 현실문제로 등장한다. 돈도 상품도 기술도 국경없이 자유롭게 넘나들지만 언어와 생활 풍습과 민족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의 울타리 만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소가 희미해지면 먼저 그 위기를 경고하는 잠수함의 토끼하고 같은 기능을 가져야 한다. 말하자면 글로벌한 환경속에서도 어떻게 한국인이 수천년 동안 누려온 문화예술의 동질성과 그 가치를 산소처럼 지키고 의식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일이다. 구체적으로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 여러 문화기관을 연결하는 공공 네트워크의 장치와 그것을 다시 직장과 가정 그리고 개인과 연결하는 생활 네트워크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일이 시급하디. 그래서 누구나 산소처럼 문화예술을 호흡하고 그 가치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누리도록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와 예술의 감동을 함께 나누고 멀티미디어의 초고속 정보망을 통해서 수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문화시대를 열어야 하는 것이다. 문화예술의 인프라는 모뉴멘탈한 건축을 세우는 것이라는 하드웨어적 발상에서 벗어나 독립기념관에 사이버 역사관을 마련하면 거기에서 우리는 거북선이 일본배를 쳐부수는 생생한 현장을 가상현실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흔히 문화 이벤트를 일회성이라고 하여 그에 대한 투자를 낭비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그것은 한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과는 성질이 다른 것이다. 결혼식은 한번 치르는 일회성 의식이지만 죽을 때 까지 영원히 남는 것이 아닌가, 문화예술은 한 공동체의 영원한 기억의 축적인 것이다. 그렇다고 문화예술행정이 불꽃놀이에 그쳐서는 안된다. 문화예술은 이미 만들어진 에르곤이 아니라 앞으로 그것을 창조해가는 에네르게 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화예술 네트워크에 새로운 콘텐츠를 부가하는 것이 문화예술행정의 궁극적 목표여야 한다. 그래야만 안개등을 켜고 무적(霧笛)을 울리는 문화예술의 뱃길이 미래의 신대륙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산업사회의 국가 자원은 땅속에 있지만 미래 사회의 그 자원은 인간의 마음과 머릿속에 묻혀있다. 문화예술을 맡은 행정부서는 바로 그것을 캐내기 위한 시추선의 구실을 해야한다. 상품가격의 수치와 투표의 득표 수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경제와 정치의 원리와는 다른 원리가 문화예술을 경영하는 요체이다. 그리고 권력은 유한하다는 것을 알 때 문화예술의 비전은 가시화 된다. 유한한 권력으로 무한한 문화예술을 다루고 있다는 겸허한 생각에서만 문화예술의 나무를 가꿀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