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천신문 | |
김천시는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KTX구미역 정차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고 정부의 결정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5일 이낙연 국무총리의 구미방문 후 여러 언론매체에서 ‘KTX 구미역 정차 확정적’이라는 보도가 나간데 대해 김천시가 구미역 정차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상생방안을 요구하기 위해 열렸다. |  | | ⓒ 김천신문 | |
시는 성명서를 통해 구미역 정차의 부당함의 근거로 △운행시간 증가로 고속철도 효용성 저감 △타 지자체의 동일한 정차 요구로 예산낭비, 국토의 효율적 개발 저해 △김천혁신도시 성장 동력 훼손 등을 들었다. 상생방안으로 구미 시민들의 김천(구미)역 이용편의를 위해 구미까지 계획돼 있는 대구광역전철을 김천까지 연장하고 김천(구미)역에서 구미공단 간 도로개설, 대중교통망 확충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  | | ⓒ 김천신문 | |
또 국가균형발전의 근간이 되는 김천~거제간 남부내륙철도 건설의 조속한 착수, 이와 연계되는 중부내륙선 문경~상주~김천 구간의 철도건설 사업 병행 시행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할 것도 촉구했다. |  | | ⓒ 김천신문 | |
김충섭 시장은 “사드배치로 큰 상처를 받아온 김천시민들에게 또 다시 깊은 좌절감과 박탈감을 주는 사안”이라고 안타까워하고 “지난 2003년 KTX입지 선정 시 당초 김천 북측 지역에 역사 입지가 예정돼 있었으나 구미시민들의 사용편익을 고려해 김천시 남측 지점인 현 위치로 입지가 선정됐으며 역사명칭 결정 시에도 구미와의 대승적인 차원에서 ‘김천(구미)역’으로 합의한 사례를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 김천신문 | |
김 시장은 “김천시는 이 문제가 양 도시 간 대립과 갈등을 불러일으켜서는 결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는 KTX 구미역 정차 허용 결정을 즉각 철회하고 지역 간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으며 “만약 정부에서 강행 시 15만 김천시민과 함께 강력히 투쟁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  | | ⓒ 김천신문 | |
이날 기자회견에서 본지 기자의 “KTX 구미역 정차 반대를 위해 범시민대책위 등 비대위를 구성할 의향이 있으신지, 있다면 그 범위는 어디까지인지”라는 질문에 대해 “비대위는 구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오늘 오후 4시 시의회의장, 김천상의회장과의 회의에서 구체적인 대응책을 확정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같은 날 오전 9시30분에는 김천시의회에서 ‘KTX 구미역 정차 반대 결의문’을 채택해 시민의 역량을 결집해 강력히 대응할 것을 결의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