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천신문 |
|
김천시장애인복지관이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150명을 대상으로 욕구를 조사한 결과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취업직업훈련에 이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
|
ⓒ 김천신문 |
|
2018 욕구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4.0%(21명)가 직업에 대한 욕구를 보였으며 이어서 재가복지서비스 13.3%(20명), 자립생활지원 및 문화예술여가활동이 각각 12.7%(19명)로 나타났다. 또한 평생교육 11.3%(17명), 경제적지원 8.0%(12명), 체육활동 및 상담이 각각 7.3%(11명), 건강증진 6.7%(10명), 재활치료 4.7%(7명)로 조사됐다. 그 외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방과후교실에 대한 욕구가 있었다.
복지관에서는 이 같은 조사결과에 따라 장애인가정 114세대를 선정해 재가복지사업을 하고 있다. 수퍼바이저 지도하에 현장방문 및 상담결과를 갖고 사회복지사, 치료사 등 관련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숨겨진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강점을 찾아낸 후 개입방안을 모색하며 당사자 또는 가족의 동의를 얻는 과정을 거친다.
|
 |
|
ⓒ 김천신문 |
|
외부 손길이 필요한 경우에는 김천시청을 비롯한 지역보장협의체, 자원봉사단체, 지역대학 등과 네트워크로 접근하며 사업도중에는 중간평가를 통해 당사자의 변화 또는 만족도 유무결과를 파악해 반영한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추진한 2018년 사업실적은 방문상담 및 안부전화 2천134명, 밑반찬지원 30가정 1천320회, 월동연탄지원 14가정 5천장, 방문돌봄 478명, 명절물품지원 116건, 생신상차림 14명, 주거환경개선 15가정, 방역소독 40가정, 가족여행 1회 41명 등 연인원 6천631명으로 집계됐다.
|
 |
|
ⓒ 김천신문 |
|
또한 경북공동모금회에 ‘남성독거 장애인의 식생활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요리프로그램 남자의 식탁’제안사업이 선정돼 장애인 8명이 참여하도록 했으며, 중간평가결과 사업내용 및 회계부문에서 A등급을 받아 2019년도 계속사업으로 진행 중에 있다.
복지관에서는 이 사업을 통해 외출에 대한 거부감과 지적장애 아내와 정신장애 아들 등 가족 관계로 인해 사회적 고립 상태인 박모씨(66세)를 참여시켜 1년이 흐른 지금 많이 호전된 상황이다.
이외에도 시작장애 1급 박모씨(74세)의 경우에는 일상 조차 힘든 상황에서 매주 한차례 밑반찬을 배달과 필요시 거실 및 화장실 청소, 빨래 등 가사를 지원해 1차적 욕구를 해결시켜 주는 등 많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복지관에서는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지난해 직접사업비 2천400만원을 사용했다. 재원은 일반후원금(1천725만원)과 경북모금회에서 확보한 금액(675만원)으로 충당했으며, 이외에 월동연탄 등 현물을 후원받아 전달했다.
|
 |
|
ⓒ 김천신문 |
|
현재 재가복지서비스를 받는 장애인은 114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대신동 14명(12%), 대곡동 11명(10%), 지좌동 9명(8%), 감천봉산면 각 8명(7%), 개령어모면 각 5명(4%)순이며, 증산대덕 등 지례 5개면 22명(19%), 그 외 지역 32명(28%)이다.
장애유형은 지체장애 41명(36%), 지적장애 39명(34%), 시각장애 14명(12%), 뇌병변장애 8명(7%), 정신장애 7명(6%)순이며, 그 외 청각장애 3명(3%), 뇌전증장애 2명(2%)이다.
장애등급은 1급 27명(24%), 2급 37명(32%), 3급 32명(28%), 4급 7명(6%), 5급 3명(3%), 6급 8명(7%)이다.
연령대는 50대 40명(35%)으로 가장 많고, 60대 25명(22%), 40대 18명(16%), 80대이상 13명(11%)이며, 그 외 70대 12명(11%), 30대 6명(5%) 순이다.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경제적 생활수준의 정도는 기초생활수급자 92명(81%), 차상위계층 8명(7%)이며, 비수급자는 14명(12%)으로 대다수가 취약한 실정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1급~3급이 84%로 중증장애인이 주를 이루며, 경제적 생활수준은 88%가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으로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연령대는 40~60대가 73%, 장애유형은 지체장애를 비롯한 지적시각장애인이 82%로 다수를 차지했다.
한편 복지관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13년간 일상생활지원분야를 비롯한 12개분야 87개 사업에 걸쳐 연인원 8만8천여명에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했다.
재가복지사업으로는 일상생활지원, 가족지원, 역량강화, 주거안전지원, 의료건강서비스 등 10여개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이 사업 수행에 따른 연계기관으로 한전기술(주)을 비롯한 김천축협, KT&G김천원료공장, 전기안전공사 경북서부지사, 건강보험공단 김천지사, 김천시보건소 중앙지소, 김천여성의용소방대, 코레일 KTX 김천(구미)관리역 및 포도봉사단, 김영권정형외과의원, 왕언니보리밥 등이 있다.
박선하 관장은 “집에서 거주하는 중증장애인들이 사회문화적으로 단절되지 않도록 커뮤니티케어에 입각한 서비스 제공에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시 보조금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자원을 발굴해 재가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이 보다 향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