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는 김천교 홍수특보 발령 기준 상향을 위해 낙동강홍수통제소에 기준 재검토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고 향후 기준 재검토를 위한 기관 간 협의를 추진 중이다. 시는 홍수위험 수위를 알리는 김천교 홍수특보 발령 기준이 현실과 맞지 않아 실제 위험수위가 아닌데도 빈번한 홍수특보발령으로 시민들의 과도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태풍‘타파’와 개천절에 온‘미탁’이 김천에 많은 비를 뿌리는 동안 낙동강홍수통제소는 낙동강 지류인 감천에 위치한 김천교 지점에서 홍수주의보 및 경보를 각각 발령했다. 김천교의 홍수특보 발령 기준 수위는 홍수주의보가 1.5m, 경보가 2.5m이다. 태풍‘타파’ 당시에는 수위가 1.46m, ‘미탁’당시 2.52m로 각각 주의보, 경보가 발령됐다. 그 당시 수위는 5m인 김천교 높이의 절반밖에 차오르지 않는 여유 있는 상황임에도 홍수경보가 발령돼 매뉴얼에 따른 주민대피령 등은 내려지지 않았다. 이로 인한 문제는 기준값이 현실에 맞지 않아 충분히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도 홍수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됨으로 인해 한밤중에 시민들이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는 점이다. 또한 김천시에 홍수특보 발령 문자알림서비스를 받은 시민들의 문의 전화가 빗발쳐 태풍 대응에 온 행정력을 집중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임에도 시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행정력이 분산되는 등 오히려 태풍 대처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홍수특보 발령 문자를 받은 시민 중 일부는 직접 김천교의 수위를 확인하고자 현장을 방문하는 사례도 발생해 태풍의 위험에 노출되기도 했다. 특히 잦은 홍수특보발령으로 인해 시민들의 안전 불감증을 키울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됐다. 낮은 기준값 설정으로 태풍이 올 때마다 잦은 홍수특보가 발령된다면 ‘양치기 소년’ 우화처럼 실제로 수위가 차오른 위급한 상황에서 주민들이 대피령 등 긴급조치를 지키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  | | ⓒ 김천신문 | |
홍수특보 발령 당시 김천교 수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