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천신문 |
|
평화동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시민화합을 위한 축제의 장인 평화동 도시재생 한마당이 ‘같이에 가치를 더하다’ 라는 슬로건 아래 8일 오후 김천역 광장에서 개최됐다.
|
 |
|
ⓒ 김천신문 |
|
이날 행사는 평화동 도시재생사업 운영위원회와 김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가 주최·주관하고 김천시가 후원한 주민주도 축제이다.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증진과 참여유도를 통해 지역의 도시재생역량을 강화하고 도시재생의 전략적 과제 발굴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
 |
|
ⓒ 김천신문 |
|
본식에 앞서 흥겨운 노래와 난타로 축제의 분위기를 띄웠으며 지난 5월 김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와 MOU를 체결한 코리아 파파로티 문화재단의 ‘신나는 예술여행’팀의 공연을 병행하며 다채롭게 펼쳐져 참가자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했다.
|
 |
|
ⓒ 김천신문 |
|
평화동 도시재생사업 운영위원회 임경규 위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본식에서 사업추진 주체인 김천대 윤옥현 총장, 김천시 원도심재생과 배정현 과장, 평화남산동 서범석 동장, 최병근 한국당 김천당협 사무국장이 축사를 통해 김천의 중심지였던 평화동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한 이날 행사를 축하하고 지역주민의 열의와 노력을 치하하고 사업성공을 기원했다.
|
 |
|
ⓒ 김천신문 |
|
김태환 김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장, 백열선 김천대산학협력단장, 강경규 주민자치위원장, 이승근 평화상가로협의회장, 김한규 평화시장상인회장, 이춘배 평화시장 번영회장, 서우득 평화동 주거지분과 통장, 김익주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장, 고진석 지역사회보장협의체회장, 강현수 신협지점장 등 관계자와 많은 시민이 참석했다.
|
 |
|
ⓒ 김천신문 |
|
이날 행사가 열린 김천역 광장에는 지역주민 및 상인과 기관의 협력아래 다양한 판매 및 체험부스를 마련해 시민들의 발걸음을 잡았다.
|
 |
|
ⓒ 김천신문 |
|
특히 평화동 도시재생사업 구역 8곳을 방문하고 활동지에 스탬프를 날인해 오면 소정의 상품을 지급하는 스탬프 투어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전후 비교사진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사업현황을 생생히 전달했다.
|
 |
|
ⓒ 김천신문 |
|
김천역 회의실에서 오후 3시부터 열린 컨퍼런스에는 대구 안심마을 이형배 대표가 주제발표를 한 뒤 다수 전문가의 토론으로 김천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과 지속가능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뜻 깊은 자리도 마련했다.
|
 |
|
ⓒ 김천신문 |
|
이 자리에서 도시재생 사례발표가 있었으며 마을관리 협동조합 운영을 희망하는 지자체와 조직 간의 정보교류에 대해 이야기하고 관련 주제로 토론을 펼치기도 했다.
|
 |
|
ⓒ 김천신문 |
|
임경규 위원장은 “상인 등 주민, 지자체, 도시재생센터, 전문가들과 함께 평화동 도시재생사업이 원도심활성화의 마중물이 돼 전국에서 선진지 사례로 찾아오는 활기 넘치는 평화동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참여형 행사 프로그램으로 알차게 구성해 행사의 완성도를 높인 평화동 도시재생한마당을 통해 시민들에게 사업의 이해와 관심도를 높이고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
 |
|
ⓒ 김천신문 |
|
<핸드폰 이용시 화면을 내려서 맨아래 'PC버전'을 클릭하시면 모든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