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의 효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날이 갈수록 드론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천시가 발 빠르게 드론 거점을 구축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드론이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는 공역을 신청해 어모면 중 일부분이 공역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둔 데 이어 인근에 드론 실기시험장도 구축한다.
 |
 |
|
김충섭 김천시장 |
일반적으로 드론의 비행 높이는 150미터로 제한돼 있다. 하지만 김천시가 신청하고 공역으로 지정된 공간에서는 300미터까지 비행이 가능하다.
높이 제한만 푼다고 드론을 자유자재로 시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드론의 성능을 다양하게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실기시험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김천시는 공역으로 지정된 어모면 일대와 맞붙은 개령면 일대에 실기시험장을 구축해 이 조건을 해결했다.
이에 따라 드론 관련 업체가 김천에 관심을 가질 최소 조건을 갖추게 됐다.
드론 제조업은 중국에서 저가 드론을 생산하고 있어 경쟁력이 떨어지지만 드론을 실질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소프트 프로그램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드론은 농약 살포, 물류 배달, 소방서 인명 구조, 항공사진 촬영, 페인트 분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열거한 분야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드론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기본적으로 모두 비슷한 드론이지만 활용분야가 다른 것은 소프트 프로그램 때문이다.
농약 살포 드론에 살포 프로그램을 탑재하면 농약 살포 드론이 되고 물류배달 드론에 배달 프로그램을 탑재하면 물류 배달 드론이 된다.
앞으로는 드론 제조보다는 활용 프로그램이 더 중요해 진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드론 관련 업체를 유치할 경우 제조업체보다는 소프트 프로그램 등 드론을 실제로 활용하는 분야에 관계된 업체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드론은 아직 연구 개발될 여지가 많이 남은 분야이고 추진하고 있는 사업도 실제적인 성과보다는 실험 성격이 짙은 실증사업이다.
하지만 김천시는 공역 지정, 실기 시험장 등을 갖춰 타 지역보다 드론 분야에 있어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 평가가 나오고 있다.
김천시는 약 300억 규모의 드론 실기시험장 구축,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선정 등 다양한 드론관련 국책사업을 관내에 유치, 미래산업 육성에 대비해 왔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물류서비스 사업이 구미로 넘어갈 뻔하기도 했다. 도로공사에서 추진한 디지털 물류서비스 사업은 도로공사 인근에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부지가 없어 구미를 검토 대상에 올렸다.
김천시는 도로공사와 김천시가 협력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토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내세워 디지털 물류서비스를 지켜냈다.
디지털 물류 서비스, 드론의 물류 배달과 연계해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인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사업’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되는 성과까지 이끌어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