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 1명으로 촉발된 공단발 코로나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김천시가 긴장하고 있다. 8월 5일 타 지역 모임에서 1명이 확진된 후 자가격리에 들어갔던 근로자 중 15명이 추가 확진됐다. 또한 사적모임 등으로 인해 신규 확진자 13명이 발생해 내국인 1명을 포함해 확진자는 28명이 됐다.
|
 |
|
재난안전대책본부 총괄조정관 김창현 |
|
이처럼 공단발 확진자 사태가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자 김천시는 지난 20일 오전 10시 김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어 김천산업단지내 138개 업체 약 8천명의 전체 근로자에게 코로나 검사를 받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해당되는 곳은 김천1일반산업단지, 1.2차 산업단지, 대광농공단지 내의 기업체이며 정규직, 비정규직, 협력업체의 구분이 없다. 이로 인해 선별검사소 앞에 긴 차량 행렬이 또 등장했다.
김천시청 공무원 1명 확진으로 1천명 가까운 인원이 검사 받은 지 불과 일주일이 채 지나지 않았다. 이번 검사 인원은 8천명으로 8배 증가해 선별검사소의 피로가 누적될 것으로 보인다. 갑자기 몰릴 차량에 대비해 1천500명씩 5일에 나눠 검사가 진행되며 공단 내에도 선별검사소를 운영했다.
코로나 사태를 직접 겪고 있는 공단의 피해 역시 적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직 사업장을 폐쇄한 기업체는 없지만 일부 라인 운영이 중단된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확진 판정을 받은 근로자와 밀접 접촉자로 분류된 근로자가 2주간 자가격리에 들어가 현장에 투입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코로나 검사 후 당일은 업무에 들어갈 수 없기에 발생하는 공백 때문이다. 이런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사업주들이 잘 협조할지는 물음표가 달렸다.
시에서는 사업주들이 잘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업체마다 규모와 경제적 여건이 달라 반응이 각양각색이다. 특히 영세한 업체는 직원 한 두 명의 손실이 더 심각하게 다가온다. 코로나로 인해 발생하는 업체의 손실을 김천시가 보전해 주는 방안이 없다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편 방역수칙을 위반한 외국인에 대한 행정조치 및 고발에 대해서는 역학조사 중에 위반 사항이 드러나면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최초로 확진 판정을 받아 공단발 코로나 사태를 유발한 외국인에 대한 조치에 대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울러 8천명 검사라는 행정명령 카드로 공단발 코로나 사태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