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태조 왕건(王建, 877~943)
버드나무 잎새가 맺어준 사랑
최재호 칼럼니스트 / 전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
 |
|
ⓒ 김천신문 |
태조 왕건은 개성의 호족 출신으로 19세에 궁예(弓裔) 휘하에 들어가 태봉국(泰封國)의 장수가 되었던 인물이다. 전장에서의 뛰어난 전과로 최고의 관직인 시중의 자리에 오른 그는 신숭겸(申崇謙)을 비롯한 부하 장수들의 도움으로 주군을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왕건은 나라의 기반이 아직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각 지방 토호(土豪) 세력가들과 중복혼인을 통하여 빈발하는 소요를 무마시키는 정책으로, 무려 29명의 부인으로부터 25남 9녀의 자녀를 두었다.
왕건이 첫째 부인으로 신혜왕후(神惠王后)에 봉해진 정주 유씨(柳氏)를 만난 것은 아직 그가 궁예의 휘하에 있을 때였다. 왕건이 군사를 이끌고 한 고을을 지나다가 오래된 버드나무 아래서 쉬게 되었다. 이때 한 여인이 길옆 시냇가에 있었는데, 고을의 이름난 호족 유천궁(柳天弓)의 딸이었다. 유천궁은 왕건의 군사를 먹이고 재울 만큼 든든한 재력가로 자신의 딸을 왕건과 혼인시켜 그 후원자가 되었다. 이후 왕건이 왕좌에 오르길 사양하자 유씨 부인은 천명을 따르는 것은, ’장부(丈夫)의 도리’라며 손수 지은 갑옷을 남편에게 입혀 용상에 오르게 하였다.
한편 왕건이 두 번째 부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를 만난 곳은, 영산강을 사이에 두고 후백제 견훤(甄萱, 867~936)과 대치하였던 나주 일대였다. 왕건이 잠시 틈을 내어 오색구름이 상서롭게 피어나는 쪽을 바라보니, 샘가에 빨래하는 여인이 있었다. 왕건이 다가가 물 한 그릇을 청하자, 여인은 물바가지에 버드나무 잎을 따서 띄워주었다. 급히 물을 마시지 않게 하려는 여인의 깊은 배려와 총명함에 이끌려 왕건은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였다. 이 내용은 현재 나주시청 앞 공원에 왕건에게 물을 건네는 오씨 부인의 모습이 조각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설화(說話)에는 당시 왕건과 오씨 부인과의 동침 장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고 한다. ‘태조가 그녀를 불러 잠자리를 하였는데 그녀의 가문이 한미(寒微)한 탓으로, 그녀에게 임신을 시키지 않으려 하였다’. 이미 정식의 왕후를 두고 있는 몸으로, 서자(庶子)가 적자보다 먼저 태어날 경우의 불편함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왕건이 그만 돗자리에 사정(射精)하였다고 한다. 이때 오씨 부인은 ‘소녀는 대왕님의 아이를 낳아 장차 대왕님의 정식 왕후가 꼭 되겠다,’며 단호한 태도로 돗자리에 쏟아진 정액(精液)을 손가락으로 찍어 자신의 몸속으로 넣었다고 한다. 이렇게 태어난 왕자가 후일 ‘돗자리 임금’이란 별명으로 왕건의 뒤를 이어 고려의 제2대 왕위에 오른 혜종(惠宗, 912~ 945) 임금이다.
장화왕후 오(吳)씨는 대대로 영산강 기슭 나주에서 생업을 이어온 다련군(多憐君)의 딸이었다. 그녀가 꿈에 바다의 용이 품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놀라 부모에게 이야길 하였으나, 크게 내세울 게 없는 집안에서 모두가 이상하게 여겼다. 실제로 왕건의 29명의 부인 중 오씨 부인이 가장 낮은 신분에 속하였다. 하지만 얼마 후 우연히 목포에 주둔한 왕건을 만나 후일의 왕이 될 무(武)를 낳았다. 그 뒤부터 이 마을을 왕이 태어났다는 의미로 흥룡동(興龍洞)이라 불렀다. 그리고 훗날 영남의 선비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이곳을 둘러보고 빨래 샘이란 뜻으로 완사천(浣紗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예로부터 버드나무는 강인한 생명력으로 약하지만 의연하게 살다간 여인의 표상(表象)이었다. 고구려의 유화부인(柳花夫人)과 조선의 신덕왕후(神德王后) 같은 여인이 그들이다. 유씨 부인 역시 현명한 내조로 남편을 용상에 오르게 하였고, 오씨 부인은 왕자의 생산으로 국가의 대통을 잇게 하였다. 연초록빛으로 늘어진 버드나무 잎새가 만져보고 싶도록 아름다운 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