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9-01 19:43:5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원격OLD
뉴스 > 기고

최재호의 역사인물 기행[20]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사육신(死六臣)의 시신을 수습하다.

김천신문 기자 / kimcheon@hanmail.net입력 : 2022년 09월 07일
ⓒ 김천신문
김시습은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의 한 분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의 저자이다. 본관은 강릉이며,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 청한자(淸寒子)이고, 법호는 설잠(雪岑)이다. ‘오세 신동(神童)’으로 불릴 만큼 뛰어난 천재였지만, ’아웃사이드’의 지식인으로 평생을 광인(狂人) 취급을 받으며 살았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부귀와 공명에 타협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당대 최고의 지성인이자 용기 있는 사상가였다.

매월당은 3세 때 이미 글을 짓고, 5세에 이르자 '중용'과 '대학'에 통달하는 재능을 보였다. 집현전 학사였던 최치운(崔致雲)이 이를 보고 기특한 재주를 가졌다 하여 이름을 시습(時習)이라 짓게 하였다. 한번은 이웃에 사는 재상 허조(許稠)가 찾아와 ‘노(老)’자를 넣어 시를 지어보라 하자, “늙은 나무에 꽃이 피니 그 마음 늙지 않았네(老木開花心不老) 라고 했다. 이 소문을 들은 세종이 승정원 지신사 박이창(朴以昌)에게 그의 시재(時才)를 시험해 보게 하였다.

박이창이 어린 시습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여러 차례 문장력을 시험해 보았는데, 그때마다 마치 “푸른 소나무 가지 끝에서 백학(白鶴)이 춤을 추는 듯” 시습의 시구(詩句)에는 막힘이 없었다. 세종은 김시습이 좀 더 성장하고 학문이 완성된 다음 나라의 큰 재목으로 쓰겠다는 약조와 함께 비단 50필을 상으로 내어 주었다. 이후 시습은 임금께 보답이라도 하려는 듯 사서삼경을 비롯한 동서고금의 진서(眞書)를 두루 섭렵하며 학문의 완성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러는 사이 세종과 문종이 잇달아 승하하고 어린 단종이 등극하였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癸酉靖難, 1453)을 일으킨 지 2년 후 단종을 몰아내는 사태가 벌어졌다.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단종의 양위 소식에 접한 매월당은 3일 동안 통곡한 다음 천륜(天倫)을 배신한 세조 밑에서는 절대 벼슬을 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읽던 책을 모두 불태웠다. 이때 매월당의 나이 약관 21세,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전국을 방랑하게 되었다. 1456년 6월, 세조가 정권을 잡은 지 3년여가 흐른 다음이었다. 그때 성삼문, 박팽년 등의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단종 복위’ 계획이 탄로 나면서, 광화문 육조거리는 갑자기 거열형을 당한 사육신(死六臣)들의 찢어진 사체와 선혈로 낭자했다. 그러나 서슬 퍼런 세조 치하에서 후환이 두려워 그 누구도 시신을 거두려는 사람이 없었다.

이때 매월당이 처참하게 흩어진 시신들을 하나하나 바랑에 담아 한강을 건너 노량진 산기슭에 묻은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사육신의 묘지이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매월당의 기행(奇行)에 놀란 세조가 사람을 시켜 그를 불러오게 하자, 매월당은 온몸에 인분(人糞)을 뒤집어쓴 체 두 눈만 깜빡이고 있었다. 매월당이 세조의 부름을 뿌리치고 발길을 향한 곳은 경주의 금오산(金鰲山, 남산)이었다. 여기에서 그는 세상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치지 못한 한(恨)을 불교적 설화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 바로 「금오신화」이다.

1481년 그의 나이 47세에 이르러 잠시 환속하였으나, 폐비 윤 씨 사건이 일어나는 등, 명덕(明德)을 펼치기에는 세상이 너무 어수선하였다. 그는 다시 부평초 같은 운수(雲水)의 길을 걸으며, ‘신인술가(神人術家) 괴한기승(怪漢奇僧)’이란 평을 들어야 했다. 결국 매월당은 자신의 재주를 세상을 향해 단 한 번도 펼쳐보지 못한 체 부여 무량사(無量寺)에서 세수 59세를 일기로 입적하였다. 하지만 그는 불의의 시대에 맞서 명예와 재물을 버릴 수 있었던 만세 사표(師表)가 되었다. 훗날 율곡(栗谷)은 자신이 지은 「김시습 전」에서 매월당은 ‘심유적불(心儒跡佛) 즉, 선비의 마음을 갖고, 선승의 족적(足跡)’을 남긴 인물로 적고 있다. 

최재호, 칼럼니스트/전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김천신문 기자 / kimcheon@hanmail.net입력 : 2022년 09월 07일
- Copyrights ⓒ김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제35회 경북도민생활체육대축전」 대진 확정..
「제12회 산내들 한여름 밤의 음악회」 개최..
경북 한우, 홍콩 수출 본격화... 현지 TV 통해 우수성 알려..
경북도, 지역 음악 세계 진출 위한 ‘경주 국제 퓨어 뮤직 페스티벌’열어..
경북보건대, ‘K-U시티 김천시민 직업교육 프로그램’ 유통관리사 3급 교육과정 성료..
고속도로 휴게소 시그니처 메뉴 7종, 전국 CU 편의점에서 간편하게 즐긴다..
김천 - 대구 연결 공공형 도심항공교통 (UAM) 시범사업 국토교통부 공모 선정 !..
2025년 김천시노인복지관, 혹서기 대비 일반의약품(벌레물림 상비약 `써버쿨겔 및 써버쿨플라스타‘)지원..
김천시, 실버혁신타운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 개최..
김천상무, (주)동희산업-(주)에스비일렉트릭 후원금 전달식 진행..
기획기사
경북 김천혁신도시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출범한 지 올해로 10년을 맞았다. 김천시는 지난 10년간 각종 인프라를 확충하고 지역.. 
배낙호 김천시장은 지난 4월 3일,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제1호 공약인 ‘시민과의 소통’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22개 읍면동을 순회하며.. 
업체 탐방
안경이 시력 교정의 기능을 넘어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그 역할이 변화해가는 트랜드에 발맞춰 글로벌 아이웨어(eyewear)시장에 도전.. 
김천시 감문농공단지에 위치한 차량용 케미컬 제품(부동액, 요소수 등)생산 업체인 ㈜유니켐이 이달(8월)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선정패 .. 
김천신문 / 주소 : 경북 김천시 충효길 91 2층 / 발행·편집인 : 이길용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숙 / Mail : kimcheon@daum.net / Tel : 054)433-4433 / Fax : 054)433-200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67 / 등록일 : 2011.01.20 / 제호 : 김천신문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50,740
오늘 방문자 수 : 43,312
총 방문자 수 : 103,977,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