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8-20 15:58:1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원격OLD
뉴스 > 행사

2023, 자동서원(紫東書院) 향사(享祀) 봉행

남와 강설, 기재 강여호, 학암 강석구, 호은 강이하를 기리고, 그 가르침 되새겨
전영수 기자 / kimcheon@daum.net입력 : 2023년 04월 29일


조마면 강바대에 소재한 ‘자동서원 2023 향사’ 봉행식이 29일 오전 11시에 개최됐다. 찰방공파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향사는 김충섭 시장, 김석조 시의원을 비롯한 지역유림, 기관단체장, 주민 등 15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봉행됐다.











봄비가 내리는 가운데 상의사(尙懿祠)에서 봉행된 이번 향사의 제관과 집사를 정한 분정기(分定記)에 따르면, 초헌관 김충섭 시장, 아헌관 이갑희 향토사연구회장, 종헌관 강장규 왕자사부공파 종회장, 홀기(笏記/제례 식순)를 맡은 집례 강희대 성주군 성주향교 원장, 독축관(讀祝官) 배연 김천청년유림회장과 강희곤 자동서원 원장, 알자(謁者/헌관(獻官) 안내) 강우규 등이 각각 그 역할을 맡았다.









서원(書院)은 조선조 중기 이후 선현(先賢)을 제향하고, 학문을 연구해 인재를 키우기 위해 세워진 사설 교육기관이다. 자동서원은 강설(姜渫)·강여호(姜汝㦿)·강석구(姜碩龜)·강이하를 배향한 서원이다.







자동서원은 영남 유림 555명이 1804년과 1806년에 두 차례에 걸쳐 서원 건립을 발의해, 1811년에 준공했다. “서원이 자양산 아래 동쪽에 앉았다”라고 하여 자동서원이라 명명했고, 남와 강설, 기재 강여호를 향사했다. 그 후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7년 중수·복원되면서 강설·강여호 이외에 강석구·강이하도 함께 추향했다.









자동서원은 500여 평에 일자(一字)로 배치된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을 담장으로 구분했다. 강학 공간에 제창문(濟蹌門) 현판의 대문이 있고, 자동서원(紫東書院) 현판이 달린 강당에 양선재(養善齋) 육영재(育英齋)가 있다. 제창문은 ‘선비들이 아름답게 모인다’, 양선재는 ‘공부하며 인선을 함양한다’, 육영재는 ‘영재를 가르친다.’라는 뜻이다.





외삼문(外三門) 앞에 수호사적비(守護史蹟碑)가 세워져 있다. 사당은 ‘상의사(尙懿祠)’, 외삼문에 ‘헌명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풍수적 입지를 고려해 건축된 자동서원은 그 위치한 곳이 용(龍)이 뒤틀린 형상으로 강곡천을 끌어들인 비보적 성격을 띤 인공 연못이 조성되어 있다.





자동서원의 뿌리는 1780년 연봉서당(連峰書堂), 사당은 세덕사(世德祠)로 강설(姜渫), 강여호 부자의 학덕을 숭모하며 문중의 자제와 다른 문중의 자제들을 교육하던 서당이다. 매년 봄가을로 향사하다가, 2000년부터 유림에서 3월 초정(丁)에 한 번만 향사(享祀)한다.









유림에서 행하는 서원 제사(향사)는 정일(丁日)을 사용한다. 음력으로 매월 초순(1일-10일) 정(丁)이 들어 있는 날이 ‘초정’(初丁)이다. 자동서원 향사는 3월 초정에 봉행한다. 정일(丁日)을 택하는 이유는, ‘정장성취(丁壯成就)’ 즉, 공부하는 사람의 예업(藝業)이 성취되길 희망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봄 제사는 향(享), 여름 제사는 체(禘), 가을 제사는 상(嘗), 겨울 제사는 증(蒸)이라고 한다.





한편, 염속산과 매봉산의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명당에 터 잡은 강평마을은 진주강씨(晋州姜氏) 찰방공파(察訪公派) 강이화(姜履和)가 1761년 구성 기를(耆老洞)에서 강바대로 이거한 이래 진주 강씨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다.





진주 강씨의 김천 입향(入鄕)은 도찰방을 지낸 14세손 강부(姜符)의 손자 남와(南窩) 강설(姜渫)이 구성 명문가로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우두령 전투, 지례전투, 공자동 전투 등지에서 명성을 떨쳤고, 지례 현감을 지낸 감호(鑑湖) 여대로(呂大老)의 사위가 된 것과 연관이 있다.









강설은 회덕 태생으로, 영남 남인학파를 이끌던 한강(寒岡) 정구(鄭逑) 문하에서 학문을 닦고 1612년 임자(壬子) 증광시(增廣試)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으나, “과거는 사람을 누되게 한다”하며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병자호란 때 의병장으로 참전하다가 1628년 처향(妻鄕)인 구성 기를 마을로 낙향했다.





특히, 강설은 임란때 소실된 김산향교 중건을 위해 노력했는데, 선친의 유훈을 받든 강여구, 강여호가 향교의 면모를 일신해 흥학에 기여했다. 이들의 문덕(文德)을 추앙하던 안동 병산서원장 이제를 비롯한 영남 유림 555인 발의로 1804년 서원을 세우니, 자동서원(紫東書院)이다.







초헌관 김충섭 시장은 “영남 유학의 적통을 이어받은 남와 강설 선생의 뜻을 기리는 자동서원 향사 봉행을 통해 잊혀져 가는 선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전영수 기자 / kimcheon@daum.net입력 : 2023년 04월 29일
- Copyrights ⓒ김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서예의 숨결, 타묵의 울림” 김천 출신 율산 리홍재 특별초대전..
제10회 경상북도협회장배 생활체육농구대회, 김천서 개최..
김천상공회의소 ‘2025년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안전환경 구축 지원사업’ 1차 선정위원회 회의 개최..
경북도, 현장준비체제 대전환! APEC 전 분야 윤곽 보인다..
김천소방서, 위험도로 대응 위한 소방차량 운전능력 집중 교육..
한국자유총연맹 김천시지회, 태극기 나눔 캠페인 전개..
제80주년 광복절, 대신동 신양마을 태극기 물결로 물들다..
김천소방서, 경상북도 의용소방대 강의경연대회‘우수상’수상..
김천시청어린이집, 감사의 마음 담아 ‘빙수데이’ 행사 개최..
(사)경북ICT융합산업진흥협회-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경북보건대학교 상호협력 협약 체결..
기획기사
배낙호 김천시장은 지난 4월 3일,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제1호 공약인 ‘시민과의 소통’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22개 읍면동을 순회하며.. 
배낙호 김천시장이 민선 8기 취임 100일을 맞아 김천신문 독자위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시정 운영 철학과 향후 방향에 대해 진솔하게 밝.. 
업체 탐방
안경이 시력 교정의 기능을 넘어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그 역할이 변화해가는 트랜드에 발맞춰 글로벌 아이웨어(eyewear)시장에 도전.. 
김천시 감문농공단지에 위치한 차량용 케미컬 제품(부동액, 요소수 등)생산 업체인 ㈜유니켐이 이달(8월)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선정패 .. 
김천신문 / 주소 : 경북 김천시 충효길 91 2층 / 발행·편집인 : 이길용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숙 / Mail : kimcheon@daum.net / Tel : 054)433-4433 / Fax : 054)433-200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67 / 등록일 : 2011.01.20 / 제호 : 김천신문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65,083
오늘 방문자 수 : 40,569
총 방문자 수 : 103,382,068